본문 바로가기

기타심리학

[책 리뷰] 유전자만이 아니다

유전자만이아니다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지은이 피터 J. 리처슨 (이음, 2009년)
상세보기


글: 인지심리 매니아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위 문구는 백범 김구 선생의 나의 소원중 일부분이다. 고등학교 시절 이 문장을 처음 접하고 의아해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왜 하필 문화 강국인가? 군사 강국도 있고 경제 강국도 있는데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문화로 어떻게 강국이 되는 걸까

 하지만 문화가 무기나 돈보다 강하다는 점에서 김구 선생의 판단은 옳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주장이 듣기 좋은 수식어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피터 J. 리처슨과 로버트 보이드가 쓴 책 유전자만이 아니다를 읽어 보면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 문화는 한 집단의 생존을 결정지을 뿐 아니라, 인간의 유전자마저 바꿀 수 있다.

 이 책은 유전자와 문화가 공진화 한다는 이론에 입각하여 쓴 책이다. 이 관점은 스펙트럼 선상에서 심리학과 정반대의 극단을 차지하고 있다. 진화심리학은 인간 심리가 문화를 결정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화는 흔히 유전자 또는 심리에 묶여있는 개로 비유된다. 문화는 가끔 인간 심리(또는 유전자)의 성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지만,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만약 벗어나려고 하면 심리가 통제하려 들 것이다. 우리는 자기 자식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왜 오래 지속될 수 없었는지 본능적으로 알 수 있다. 우리의 심리가 이를 허락치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문화는 종족 번식의 강력한 심리 아래 굴복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저자들은 문화가 인간의 심리 또는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인간은 문화를 통해 적응도를 높인다고 한다. 적응에 성공하면 그 세대의 후손들은 축적된 문화를 다시 계승하고 문화를 지속시킨다. 이 과정에서 유전자와 문화는 공진화한다.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의 사람들이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성인기까지 유지하는 현상은 유전자와 문화가 공진화 함을 보여준다.

이 책은 문화의 역할을 진화적 관점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 , 역사적 사례나 인구학적 천이 등 실제 현상을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입증하려고 노력했다. 주장한 가설들이 실험이나 실제 사례를 통해 검증된다면 더 없이 훌륭한 책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개인적 견해

이 책은 진화심리학이 아닌 또 다른 시각으로 진화 과정을 조망한다. 심리학은 문화가 인간 심리에 예속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저자들도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인간은 문화를 받아들일 때 자신의 심리에 맞는 문화를 받아들인다. 저자들은 이를 편향된 전달이라고 부른다. 편향된 전달에는 순응 편향, 빈도 편향, 모델 편향이 있다. 각 편향들은 심리학이 밝혀낸 인간의 심리현상과 같은 맥락선 상에 있다. 하지만 문화는 편향의 힘을 압도해서 전달될 수 있다. 문화는 유전자 또는 인간 심리의 줄에 묶인 개가 아닐 수도 있다.

문화는 심리적 현상을 거스를 뿐 아니라 심리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문화가 인간의 인지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2011/07/31 - [인지심리기사/지각] - 종교가 인지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들을 볼 때마다, 어쩌면 문화가 심리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필자처럼 어리석은 심리학도의 짧은 식견과 달리, 세상은 인간 심리만으로 단순하게 설명되지 않으며 문화와 유전자, 심리의 공진화로 설명 가능한 복잡한 체계일지 모른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우리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인간 현상을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