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기사/의사결정/추론

불확실성의 저주





출처: Wired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불확실성은 왜 위험할까? 우리는 왜 새로운 공장을 짓거나 새 근로자를 모집하는 일(즉, 불확실한 투자)에 인색할까? Caltech의 신경경제학자인 Colin Camerer가 Science 저널에 게재한 최근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해 준다. Camerer붉은색과 검은색이 섞인 20장의 카드를 고르면서 다음 카드가 어떤 색일지 알아맞추는 도박(Ellsberg paradox)을 하는 동안 사람들의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처음에는 참가자들에게 20장 중 빨강과 검정 카드가 몇 장 있는지를 말해준다. 따라서 참가자는 다음 카드가 어떤 색일지 대략적인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두번째 게임은 조금 더 어렵다. 참가자들은 총 카드의 장수만 알 수 있고 빨강과 검정 카드가 몇 장인지는 모른 체 도박을 하게 된다.  


첫번째 도박에서 참가자들은 불확실한 위험에 직면하지만 수학적 계산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다. 예상대로 첫번째 도박게임에 참가자가 카드가 나올 확률과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보상과 관련된 뇌의 특정 부분(striatum)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실생활에서 잘 일어나지 않는다. 현실에서는 미래가 모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설사 대충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상한다 하더라도 아주 작은 부분만을 예측할 수 있다. 연구자가 보다 현실적인 도박 게임을 진행시키자(두번째 도박), 참가자의 뇌가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기 시작했다. 아주 적은 정보만을 가지고 있을 때 참가자의 편도(amygdala)가 활성화 되었는데, 이 부위는 공포 조건화(conditioning)와 관련된 부분이다. 결국 우리는 무언가 불확실한 상황에 처하면 공포를 느낀다. 그리고 이렇게 설명불가능한 공포가 -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에 대한 정서적 부산물 - 미래의 보상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한다.


불확실에 대한 공포는 인간의 의사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2006년 경제학자인 Uri Gneezy, John List, George Wu 발표한 논문을 살펴보자. 이들은 소위 "Uncertainty Effect"라는 것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이 현상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utility theory에 의하면 인간은 발생가능한 모든 대안을 평가해서 위험한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만약 동전의 앞, 뒷면을 선택하는 문제가 주어졌다고 생각해보자. 만약 앞면이 나오면 당신은 1.05달러를 받는다. 뒷면이 나온다면 1달러를 읽게 된다. 결국 이 도박의 기대된 효용은(expected utility) 우리에게 유리하다. - 동전을 무수히 던진다면 앞뒷면이 나올 확률은 반반이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5센트를 벌게 되기 때문이다 - 우리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 하지만 카네만과 트베르스키가 수십년 전에 확인했듯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손실에 대한 가능성이(그리고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불안한 감정 때문에) 5센트를 벌고자 하는 유혹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Gneezy, et al.은 이런 불확실 효과가 사람들로 하여금 우스꽝스러운 결정을 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자.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반즈 노블스 상품권 두장(50 달러 짜리와 100달러 짜리)을 주고 이를 얼마에 살 의향이 있는지 물어봤다(이 실험은 두 상품권을 획득할 확률을 조작했다. 50달러 짜리 상품권을 확실히 받을 확률이 99%인 경우 100달러짜리를 받을 확률은 1%가 된다. 이렇게 1 대 99에서 50 대 50, 다시 99 대 1까지 확률이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 역자 주). 참가자들은 이 상품권을 2주 안에 써야 한다는 설명을 추가로 들었다.


예 상대로 사람들은 100달러짜리 상품권을 받을 확률이 거의 확실할 때 가장 많은 액수를 지불하고자 했다. 이 경우 참가자들이 제시한 액수는 평균 45달러였다. 50달러 짜리를 확실히 받을 경우 참가자들이 제시한 액수는 평균 26.1달러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경제학 모델의 예측이 잘 들어맞는다. 하지만 불확실성 개념을 집어넣기 시작하자 참가자들이 이상한 반응을 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서 50달러 짜리 상품권을 받을 확률이 50%이고 100달러 짜리 상품권을 받을 확률도 50%라고 말하자 사람들은 이 기회를 16달러 주고 사겠다고 한 것이다. 즉, 최악의 결과보다 기대된 효용이 훨씬 큼에도 불구하고 훨씬 적은 액수를 제시한 것이다(50달러 짜리를 받을 확률이 100%이고 100달러 짜리를 받을 확률이 0%라면 결국 값어치는 50 X 1 + 100 X 0 = 50달러이다. 50달러와 100달러짜리를 받을 확률이 모두 50%이라면 50 X 0.5 + 100 X 0.5 = 75달러가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두번째 경우에 더 많은 액수를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첫번째 경우에 261.달러를 지불하고 두번째 경우에는 17달러를 지불한 것이다. -역자 주). 두 상품권을 받을 확률이 반반이라는 '불확실성' 때문에 값어치가 훨씬 큼에도 불구하고 낮게 평가된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편향이 현재 경제에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모든 의사결정은 불확실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도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상된 보상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편도체에서 일어나는 불편한 감정이 반즈 노블즈 상품권을 얻을 찬스를 놓치게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불확실성의 저주다. 불확실함은 우리를 불편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