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APS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이론적으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인 페이스북은 자존감이 낮은 사람에게 좋을 수도 있다. 공유는 우정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의 저널인 Psychological Science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낮은 자존심을 가진 사람은 페이스북에서 훨씬 비생산적이고 부정적인 말을 하기 때문에 자신을 비호감으로 만든다고 한다. 
 

워털루 대학의 대학원생 Amanda Forest "우리는 페이스북이 사람들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환상적인 장소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Joanne Wood와 함께 새 논문을 썼다. 두 사람은 자존감, 특히 자존감이 인간의 정서 표현에 어떤 영향을 치는지 관심이 있었다. 자존심이 낮은 사람은 일대일 만남을 불편해하지만, 페이스북은 얼굴을 직접 보지 않아도 공유가 가능하다.
 

한 연구에서, 포레스트와 우드는 학생들에게 페이스북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물어봤다. 자존심이 낮은 사람들은 페이스북이 다른 사람과 연결될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사회적 상황에서 맞닥뜨리는 어색함이 없는 안전한 장소라고 생각했다.
 

연구팀은 또 학생들이 실제로 페이스북에 쓴 글들을 조사했다. 그들은 학생들이 자신이 페이스북에 올린 상태 업데이트 10개를 조사했다. 이 상태들은 "[이름]는 좋은 친구를 만나서 행운이고, 내일이 기다려진다", "[이름]는 휴대폰을 도둑맞아서 화가 난다"같은 문장이었다. 이 글들은 그들의 페이스북 친구들에게 보여진다.
 

각각의 상태 업데이트들은 얼마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지 평가되었다. 또 코더(Coder) - 페이스북을 쓰는 학부생 - 들은 이 문장을 쓴 사람에게 얼마나 호감을 가지는지 평가했다.
 

그 결과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존감이 높은 사람보다 훨씬 부정적인 글을 올렸으며, 코더들도 그들을 덜 좋아했다. 포레스트는 코더들이 참가자들과 모르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 실험이 더 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전 연구에서, 우드와 포레스트는 페이스북 친구의 절반이 낯선 사람이거나 근친이라는 사실을 알아냈기 때문이다.
 

포레스트와 우드는 또 자존감이 낮은 사람이 페이스북에 긍정적 글을 남겼을 때, 부정적 글보다 친구들로부터 더 많은 반응을 얻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부정적 글을 올렸을 때 더 많은 반응을 얻었는데, 그 이유는 이런 사람이 부정적 글을 쓰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일 것이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페이스북이 자신을 공개하기 안전한 장소라고 여길지 모른다 -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당신이 누군가와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한다면, 상대방이 당신의 부정적 말을 지겨워한다는 사실을 금방 눈치챌 수 있다"라고 포레스트는 말했다. 하지만 페이스북의 경우, 사람들은 당신의 글에 대해 부정적 리액션을 자제한다. "따라서 페이스북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대부분 볼 수 없다". 




출처: B good science blog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내 프로필 사진에는 전부 예쁜 사진만 있을까? 페이스북의 사회적, 심리학적 영향력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그런데, 한 연구가 자신의 페이스북 프로필을 보는 것 만으로도 자존감이 상승한다고 주장해서 이 영역에 새로운 빛을 비추고 있다.


이번 연구는 코넬 대학의 에이미 곤잘레스(Amy Gonzales)와 제프리 핸콕(Jeffrey Hancock)에 의해 실시되었다. 기존 연구는 인터넷 사용이 우울증, 외로움, 사회적 기능의 퇴화를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근들어 페이스북이 전반적인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기 시작했다.


참가자들은 이 실험이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를 탐색한 다음 사람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는 말을 들은 다음,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연구자들은 이들을 온라인 그룹, 오프라인 그룹과 오프라인 통제 그룹으로 나누었다.


온라인 통제 그룹의 경우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방문하게 했지만 자신의 프로필 페이지를 변경하라는 말은 하지 않았다(즉 프로필 변경을 본인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3분이 지난 후에 연구자들은 설문을 가지고 돌아온다. 오 프라인 그룹의 경우 컴퓨터 모니터 앞에 거울이 설치되어서 "self awareness stimulator" 역할을 하게 되다(사람은 거울을 볼 경우 자기 모습에 대한 자각을 하게 된다 - 역자 주).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다른 실험의 일부라면서 몸을 움직이지 말라고 지시했다. 3 분 후에 그들 역시 질문지를 받는다. 오프라인 통제 그룹은 다른 집단과 같은 방에서 실험에 참여하지만, 거울도 없고 컴퓨터 모니터도 꺼져 있다.


self-esteem은 Rosenburg의 Self-Esteem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했고, 이 점수를 통해 다양한 가설을 검증했다.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노출된 경우 오프라인에서 객관적 자기 인식(objective self-awareness)을 불러일으키는 자극보다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이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2.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노출된 경우 통제 조건이나 전통적인 방식으로 self-awareness를 불러일으킬 때보다 긍정적 효과가 일어날 것이다.
  3. 자신의 프로필만 본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프로필을 모두 본 사람보다 자존감이 상승할 것이다.
  4. 실험 참가 중 자신의 프로필을 변경하는 사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존감이 상승할 것이다.

대비 분석 결과 페이스북을 보는 것과 자존감의 상승 간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이런 변화를 지켜보면서 "실험 진행동안 자신의 프로필을 바꿨던 사람은 바꾸지 않은 사람보다 자존감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결과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Walther의 Hyperpersonal model에 비추어봤을 때 페이스북에서 선택적인 자기 표현이 자신에 대한 인상에 영향을 미치며, 자존감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편집되지 않은 진실한 자아상을 본 경우(예, 거울), 자존감은 내려간다.


이 실험의 경우 몇 가지 제한점이 있음을 알아둬야 한다. 이 연구는 페이스북 상 친구의 질과 숫자를 표준화하지 않았다. 이 요소는 페이스북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Reference

Gonzales AL, & Hancock JT (2011). Mirror, Mirror on my Facebook Wall: Effects of Exposure to Facebook on Self-Estee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 (1-2), 79-83 PMID: 2132944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