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인지심리 매니아


오늘은 얼마 전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실렸던 한 논문을 리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외국인의 억양이 사람들로 하여금 신뢰성을 떨어뜨린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저자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외국인이 말할 때 특유의 액센트 때문에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인지적 처리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경우 화자가 한 말의 신뢰성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청자는 신뢰성 하락의 원인을 다른 것으로 오귀인한다는 것이다(대체 어디에다 오귀인한다는 것인지는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 - 저자 주).


저자들은 외국인에 대한 편견 외에도 인지적 처리의 효율성이 신뢰성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고 아래와 같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1


첫번째 실험절차는 간단하다. 실험자가 주어준 문장 (eg, 개미는 잠을 자지 않는다)을 외국인이 읽어주면, 참가자들은 이 문장이 얼마나 진실된 문장일지 신뢰도를 평정하면 된다. 이 때 문제를 읽어주는 사람은 원어민이거나 다른 나라 출신인 경우로 나뉘어진다. 외국인 엑센트가 전혀 없는 경우, 외국인 액센트가 약간 들어간 경우, 외국인 액센트가 심한 경우의 3 조건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논 문에서 인정하고 있듯이, 내국인은 외국인에 대해 선입견이나 stereotype을 가지기 마련이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외국인이 실험자가 준 문장을 전달하는 역할만 했기 때문에,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은 배제되었다고 주장한다. 결국 참가자들의 신뢰도 평정은 순수하게 외국인 액센트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결과는 저자들의 예상대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의 액센트가 섞인 경우, 신뢰 평정 점수가 낮아진 것이다.






실험2


두번째 실험은 첫번째 실험과 동일하지만 참가자들에게 모든 사실을 다 말해준다. 즉, 외국인의 말을 못 믿는 이유는 그 사람이 외국인이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말을 잘 못 알아듣기 때문이라고 말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사실을 말해주게 되면, 참가자는 오귀인을 하지 않고 자신의 신뢰도 판단이 인지적 처리 용이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을 수정할 것이라는 게 저자들의 생각이다. 결국 신뢰 평정 점수의 변산은 전적으로 인지적 처리용이성에 따라 움직이게 될 것이다.


두번째 실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자신의 신뢰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게 된 참가자들이 외국인의 말도 신뢰하기 시작한 것이다. 



의문점


첫째, 참가자가 오귀인에서 벗어나서 진짜 원인을 알게 되었다면, 액센트 여부와 관련 없이 동일한 신뢰 정도를 보여야 한다. 즉, 실험 2에서 native, mild, heavy 조건간 신뢰 정도가 동일해야 한다. 그런데 heavy 조건은 여전히 신뢰도가 낮다.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어쩌면 참가자들은 오귀인을 제대로 수정하지 않고 여전히 외국인에 대한 편견으로 신뢰정도를 판단하는지도 모른다.


둘째,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이 논문은 인지적 처리 용이성으로 인한 신뢰도 하락을 우리가 '어디에' 오귀인하는지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럼 그 오귀인의 대상은 무엇인가? 편견이 완전히 제거된 순수한 '액센트'를 말하는 것인가? 아니면 외국인에 대한 편견? 만약 그렇다면 이 실험에서도 편견이나 고정관념은 끝내 제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결과에서도 보듯이 오귀인이 완전히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 통제변인의 통제가 실패했음(혼입)을 의미한다.


논문 결과를 보면 질문 문항, 참가자, 지식(이 문제의 정답을 아는지 여부) 요인에 '액센트'라는 요인을 추가할 때 모델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χ²=11.345, p<0.01). 액센트 요인을 이해의 어려움 정도로 '대체'해서 분석했더니 역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χ²=5.85, p<0.02). 여기서 저자는 액센트의 결과와 인지적 용이성 정도의 결과가 유사한지를 검토하고 있다. 아마 인지적 용이성의 정도가 액센트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는 것임을 주장하고자 하는 듯 하다. 그러나, 아까도 말 했듯이 이 액센트라는 요인에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라는 요소가 혼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액센트와 인지적 용이성의 카이자승이 같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유의미할지는 모르겠지만). 인지적 용이성의 효과를 보고 싶다면 다른 분석 방법(예를 들면 회귀 분석)을 통해서 이 요인의 '독자적 설명량'을 확인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 실험은 편견이라는 요인을 인지적 용이성과 완전히 분리하지 못했을지 모른다는 의문을 갖게 만든다.


보다 완벽한 실험설계를 한다면, 편견을 아예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컴퓨터를 통해 액센트를 인공적으로 만든 뒤 사람들에게 들려준 다음 그 반응을 본다면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완벽히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


Shiri Lev-Ari, Boaz Keysar, Why don't we believe non-native speakers? The influence of accent on credi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 (2010) 1093–1096,

출처: Thoughts of a Neo-Academic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최근 De Goede, Van Vianen, Klehe는 웹사이트의 디자인이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서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에 논문을 실었다. 이들은 연구에서 fit(부합) - 한 사람의 가치, 신념, 전통 등이 조직 등 다른 개체와 맞아떨어지는 정도 - 을 알아보고자 했다.


논문에서 De Geode와 동료들은 두 가지 형태의 부합을 논의한다. 하나는 개인-조직간 부합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산업간 부합이다. 개인-조직간 부합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에 해당하고, 개인-산업간 부합은 개인의 가치, 신념, 전통 등이 해당 산업문화의 고정관념과 일치하는지를 말한다.


대부분의 산업은 그들만의 고정관념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는 밤낮으로 일하고, 계속 모니터를 주시하고, 다소 비사회적인 생활을 하고, 이따금 마운틴듀를 마신다. 프로그래머는 새 일자리를 구할 때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이 대충 어떤 생활을 하는지 잘 알고 있다. 그 프로그래머가 새 직장의 라이프스타일과 잘 맞는다면 개인-산업간 부합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조직의 경우 이런 고정관념에서 다소 편차를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구글은 동종 산업의 전형적인 문화적 특징에서 벗어난 듯이 보인다. - 직장에서 식사를 제공하고, 육아 서비스, 유동적인 근무 시간, 개인 프로젝트, 애완견 등 - 구글은 프로그래머가 일하는 전형적인 직장의 모습과 거리가 있다. 구글에서의 생활은 편할 것이다 - 다만 그것이 직원이 바라던 것이라는 전제 하에 말이다.


하지만 작은 조직의 경우는 어떨까? 당신이 수백만 달러를 HR/직원 복지에 쓸 형편이 안 된다면, 당신이 구직자의 눈을 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당신의 웹사이트뿐이다. 구직자들은 지원하려는 회사의 웹사이트를 보고 어떤 반응을 보일까? 만약 구직자들이 개인-산업간 부합 정도를 낮게 지각한다면, 이런 지각은 어떻게 변화할 수 있을까?


De Goede et al은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이를 조사했다. 먼 저 산업조직심리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조직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을 말하게 한 다음, 5주 뒤에 학생들에게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4개의 I/O Psychology firm의 웹사이트를 보게 하고 이 조직의 지각된 가치를 평가하게 했다. 이렇게 개인의 가치와 조직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측정함으로써 개인-조직간 부합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두번째 실험의 경우, 연구자는 37명의 산업조직심리 학생들에게 산업조직심리라는 산업에서 느껴지는 가치를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개인-조직간 부합의 정도가 클수록 그 조직에서 일하고 싶어하는 정도도 커졌다.
  •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웹사이트 디자인은 조직에 대한 매력도와 상관이 있었다.
  • 개인-산업간 부합은 개인-조직간 부합과 상관이 있었다(그 산업에 대한 인식이 좋다면, 그 산업 내에 속한 조직 또한 좋아하게 된다)
  • 웹사이트의 디자인과 조직-산업간 유사성(조직의 가치가 산업의 고정관념과 부합하는 정도)은 부적 상관이 있었지만, 개인-산업간 부합이 낮을 경우 상관의 정도가 강해진다.

웹디자인과 조직-산업간 유사성 예측


마지막 결과가 가장 중요하므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이 결과는 만약 누군가가 자신이 이 산업에 정말 맞는다고 생각하면(높은 개인-산업간 부합), 웹디자인이 지각된 개인-조직간의 부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산업과 자신이 잘 맞지 않는다고 느낄 경우, 웹디자인은 개인-조직간 부합에 영향을 미쳤다. 사실, 당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산업에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있다면(프로그래머의 예에서 봤듯이) 잘 디자인된 웹사이트는 지원자로 하여금 해당 조직이 해당 산업의 고정관념과 다른 특성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따라서 지원하고자 하는 산업에 대해 인상이 좋지 않고 게다가 지원하려는 부서의 웹사이트마저 부실하다면 지원자가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들은 당신의 부서를 다른 업체와 별 차이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Reference

De Goede, M., Van Vianen, A., & Klehe, U. (2011). Attracting Applicants on the Web: PO fit, industry culture stereotypes, and website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19 (1), 51-61 DOI: 10.1111/j.1468-2389.2010.00534.x []


사진: 스트라우스 칸 前 IMF 총재





출처: Wired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권력자의 안 좋은 행실에 관한 이야기는 많다. 이는 비관적인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 권력이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이기적으로 변한다. 그들은 부하에게 소리를 치고 비서와 성관계를 갖는다: 호텔 방 청소부를 폭행하거나 유모와 같이 자기도 한다. 문제는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권력은 왜 부패하는가?

심리학자들은 이를 두고 권력의 역설이라고 한다. 처음엔 리더가 자기 행동을 통제하지만 일단 권력이 상승하면 통제가 사라진다. 그들은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대신 생각 없이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무례하게 군다. 심리학자에 의하면, 권위의 가장 큰 문제는 타인의 감정에 무감각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여러 연구결과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타인을 판단할 때 고정관념이나 일반화에 더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그들은 권력이 없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 눈을 마주치는 시간이 적다.


노스웨스턴 대학의 심리학자 Adam Galinsky가 최근 주도한 실험을 보자. Galinsky 및 동료들은 참가자에게 자신이 권력있다고 느낀 때와 완전히 무력하다고 느낀 때를 이야기해 보라고 지시했다. 그 다음 그들의 이마에 E를 쓰게끔 했다. 권력에 대한 감정이 점화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글자가 거꾸로 보이게끔 썼다. Galinsky는 이 효과가 권력의 근시안적 특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즉, 세상을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다른 사람을 배려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 E가 제대로 보이도록 썼어야 한다 - 역자 주).우리가 글자를 거꾸로 쓰는 이유는 우리가 타인의 관점을 신경쓰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청소부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권력은 우리를 순식간에 위선자로 만든다. 2009 연구에서, Galinsky는 참가자에게 권력이나 무력함에 관한 경험을 떠올리게 했다. 그 다음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은 직장에서 여행경비를 허위보고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얼마나 잘못된 행동인지 9점 척도로 응답했다. 두 번째 그룹은 주사위 게임에 참여했다. 이 게임에서 주사위 숫자는 학생들이 받는 복권의 수를 결정한다. 주사위 점수가 높으면 더 많은 티켓을 받는다.


권력에 대한 경험을 떠올렸던 참가자들은 여행경비를 허위로 보고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주사위 게임에선 전혀 상반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경우, 높은 권력 집단의 사람들은 통계적으로 불가능한 결과를 보고했던 것이다. 이들이 말한 주사위 게임의 결과평균이 무선적인 경우보다 20%나 높았던 것이다. (반면, 무력 그룹은 단지 약간 높은 주사위 결과를 보고했다). 결국 high-power 집단의 참가자는 티켓을 몇 장 더 받기 위해 자신의 점수를 부풀려서 말했던 것이다.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올바른지 잘 알고 있지만 - 속이는 행동은 잘못된 것이다 - 권력에 대한 의식은 윤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합리화한다. 예를 들어, 심리학자들이 참가자에게(낮거나 높은 권력 조건 모두에게) 약속에 늦은 사람이 차를 빨리 모는 것이 정당한지 물었을 때, 높은 권력 집단은 정당하지 않다고 비난하면서도 자신이 그런 행동을 했을 때는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권력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속도위반을 해도 된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 그들은 중요한 사람이고, 중요한 일을 한다. -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교통 법규를 잘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마 여러분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실 실험결과만 보고 쉽게 수긍하지 못할 것이다. 실험패러다임이 너무 인위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부패에 관한 연구 중 스탠포드 Business School의 심리학자인 Deborah Gruenfeld의 연구를 가장 좋아한다. 그녀는 권력있는 자리가 우리의 추론 과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관심있었다. 1953과 1993 사이에 미국 대법원에서 내려진 1,000 건 이상의 의사 결정을 분석한 결과, Gruenfeld는 판사가 권력을 얻거나 정치적 주류의 일부가 될 경우, 그들의 서면 판결이 덜 복잡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들은 적은 관점과 결과만을 고려한다. 불행한 소식은 주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서면으로 쓴 견해가 곧 법률이 된다는 사실이다.


푸코의 지적은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준다. 권력의 역학이 인간의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권력의 사다리를 올라갈 때, 우리 내면의 주장들이 왜곡되고 타인을 향한 공감이 사라진다. 우리 행동의 결과에 대해 고심하기 보다, 생각없이 행동하게 된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받을 자격이 있다. 그들이 감히 어떻게 저항하랴? 그들은 우리가 누군지 모르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