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 http://www.theluxuryspot.com/tag/lemonade/



글 :  인지심리 매니아


인간의 의지(willpower)는 제한된 자원이다. 그래서 한 과제에서 자기 통제력을 고갈시키면 다른 과제에서 자기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Ego-depletion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Roy Baumeister라는 학자가 주장하면서 유명해졌다.


바우마에스터는 Ego-depletion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으로 혈당 수치를 꼽았다. 혈당 수치가 낮아지면 자기 통제력도 고갈되고, 반대로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 통제력도 회복된다는 것이다. 그는 2007년에 실험을 통해서 이 가설이 사실임을 증명했다. 


그런데 최근 이 가설을 의심하게 만드는 논문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Matthew Sanders와 동료[각주:1]들은 실험 참가자에게 책 속에서 e를 찾는 과제를 시켰다. 이런 지루한 과제를 통해 자기 통제력을 약화시킨 다음, 연구자는 참가자에게 스트룹 테스트를 실시했다. 이 때 한 조건은 당분이 들어있는 레모네이드로 입을 헹구었고, 다른 그룹은 인공 감미료로 맛을 낸 레모네이드로 입을 헹구었다.  


실험 결과, 당분이 포함된 레모네이드로 입을 헹군 참가자가 스트룹 테스트를 잘 수행했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레모네이드를 삼키지 않았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혈당 수치에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연구자들은 참가자가 설탕 맛을 본 순간, 뇌의 보상 체계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자기 통제력이 높아졌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연구[각주:2] 역시 위의 실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결과 역시 동일했다. 두 실험 결과는 Ego-depletion이 혈당의 부족 뿐만 아니라 동기(보상)와도 관련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단맛이라는 보상은 자기 통제력을 지속시키는 동기로 작용하는 듯 하다. 








  1. Sanders, M., Shirk, S., Burgin, C., and Martin, L. (2012). The Gargle Effect: Rinsing the Mouth With Glucose Enhances Self-Control. Psychological Science DOI: 10.1177/0956797612450034 [본문으로]
  2. Hagger, M., and Chatzisarantis, N. (2012). The Sweet Taste of Success: The Presence of Glucose in the Oral Cavity Moderates the Depletion of Self-Control Resourc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DOI: 10.1177/0146167212459912 [본문으로]





글 : Ulterior Motives

번역 : 인지심리 매니아



도덕은 나쁜 행동을 하고 싶은 유혹으로부터 우리를 도와준다. 예를 들어 당신이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 혐오감이 일어난다. 또, 타인의 잘못된 행동을 보면 시시비비를 가리고 싶어진다. 이런 본능 때문에 우리는 나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인간의 도덕 판단이 혐오감과 관련 있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목격할 경우 혐오스러운 반응을 보인다. 더불어, 혐오감은 사람들의 도덕적 분노를 증폭시킨다. 이 연구의 흥미로운 점은 혐오감이 다른 원인 때문에 일어났을지라도 도덕적 분노가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원리는 간단하다. 우리는 감정을 느끼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찾는다. 대부분의 경우 원인은 분명하다. 당신이 길을 걷고 있는데 차가 당신을 향해 돌진해 온다고 상상해보자. 아마 옆으로 급하게 피한 다음 순간적으로 공포를 느낄 것이다. 이 감정은 분명 차에 치일 뻔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하지만 가끔 감정의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당신은 시험이나 발표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서 스트레스를 겪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스트레스가 다른 일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스트레스가 전혀 상관 없는 다른 일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혐오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특정 상황에서 경험한 혐오감이 전혀 관련 없는 도덕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Lotte Van Dillen, Reine van der Wal, Kees van den Bos는 2012년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저널에 흥미로운 논문[각주:1]을 게재했다. 이 논문은 도덕 판단에서 일어나는 혐오감의 오귀인이 개인차에 영향을 받는지 연구했다. 


연구자들은 개인마다 주의력 통제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고전적인 스트룹 과제를 예로 들어보자. 스트룹 과제에서 색상 단어는 각각 다른 색으로 씌여져 있다. 참가자는 단어의 색상을 말해야 한다. 이 과제는 단어의 뜻과 글자의 색이 동일할 때 매우 쉽다. 즉, ‘RED’라는 글자가 빨간 색으로 씌여있을 때 ‘RED’라고 금방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단어의 뜻과 글자의 색이 다를 때는 어려워진다. 그래서 ‘GREEN’이 빨간 색으로 씌여져 있는 경우 ‘RED라고 말하는 속도가 느려진다.  


이 과제는 개인차가 있다. 어떤 사람은 이 과제를 매우 어려워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글자의 색깔에만 정확히 집중하기도 한다.


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참가자에게 앞으로 일련의 실험을 진행할 것이라고 알려줬다. 먼저 참가자들은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면서 반응 속도를 측정했다. 이 속도는 주의력 통제 능력을 의미한다. 그 다음, 참가자들은 약간 혐오스러운 이야기(“앤이 사과를 한입 베어 물자 안에서 벌레가 나왔다”)와 중립적인 이야기(“앤은 점심으로 가져온 사과를 한입 베어물었다.”)를 읽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어떤 사람이 지갑을 발견하고 그것을 가지기로 결심하는 이야기를 읽었다. 참가자들은 이 행동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평가했다. 중립적인 이야기를 읽었던 참가자들은 이 이야기가 약간 잘못되었다고 응답했다. 주의 통제력이 높은 사람도 이 이야기가 약간 잘못되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주의 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이야기 속 인물을 강하게 비난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참가자에게 각각 다른 지시를 내렸다. 몇몇 참가자에게는 혐오스러운 이야기를 읽으면서 최대한 감정을 강하게 느껴보라고 주문한 반면, 다른 참가자들에게는 이야기를 읽는 동안 주의를 분산시키도록 했다. 그 다음, 참가자들은 불륜을 저지르고 가족을 떠난 남자/여자의 이야기를 읽고 그들의 행동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평가했다.


이 경우, 혐오스런 이야기를 읽으면서 강한 감정을 느꼈던 참가자들이 주의가 분산되었던 참가자들보다 이야기 속 주인공을 강하게 비난했다.


종합해보면, 우리는 혐오감을 기준으로 행동의 도덕성을 판단한다. 하지만 주의력이 높다면 자신이 경험하는 혐오감이 도덕 판단의 결과라는 잘못된 생각을 억제할 수 있다. 


  1. Van Dillen LF, van der Wal RC, van den Bos K., On the role of attention and emotion in morality: attentional control modulates unrelated disgust in moral judgments. Pers Soc Psychol Bull. 2012 Sep [본문으로]

약물중독 치료와 스트룹 테스트 주의 / 인지심리학

2010/05/14 15:41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ryuskae/140106814121

출처: Addiction inbox

 

약물중독 치료 낙오자는 스트룹 과제를 잘 못한다.

 

 

사 람들은 스트룹 과제를 할 때 단어의 의미를 무시하기 어려워한다. John Ridley Stroop은 1935년 그의 학위 논문에서 단어의 의미가 얼마나 자동적으로 처리되는지 보여줬다. 스트룹 테스트에서 사람들은 일련의 단어를 보게 된다(위 사진 참조). 단어들의 색상과 단어의 의미가 가리키는 색상은 다를 수 있다(보라색으로 쓰여진 green을 보라-역자 주). 이 과제에서 사람들은 단어가 쓰여진 ‘색’을 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쓰여진 ‘green’의 경우, 정답은 ‘빨강’이다. 이 과제는 보기보다 어렵다. 단어의 의미(녹색)가 자동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고 글자의 색을 말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테스트가 약물중독과 무슨 상관일까?

 

심리학자들은 약물중독자가 약물과 관련된 자극들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또 약물과 관계 없는 자극의 경우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연구자들은 스트룹 테스트가 약물중독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약물에 다시 중독될 가능성을 진단하는 도구로 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웨 일즈 대학의 연구자들이 지적했듯이, ‘술이나 약물사용에 대한 인간의 의사결정은 거의 자동적이며, 보이지 않는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 중독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약물과 관련된 환경이나 자극에 보다 주의를 기울인다. 그 결과 ‘약물과 관련된 자극(물건, 광고 기타 등등)을 봤을 때 중독자들은 거의 자동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다.’

 

 

최근 한 연구는 74명의 코카인 중독자 중 약물중독 치료에서 낙오하는 사람들을 연구했다. Neuropsychopharmacology에 실린 이 논문에서 Dr. Chris Streeter과 동료들은 스트룹 테스트가 약물중독 치료의 효과를 진단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의 스트룹 테스트는 중독의 심각성이나 우울증, 다른 임상적 현상을 설명하지는 못했지만, 약물중독 치료 낙오자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낙오자는 다른 중독자에 비해 스트룹 테스트를 마치는 데 24%정도 더 오래 걸렸다. ‘이 결과는 스트룹 테스트가 약물 중독치료 낙오자를 구분하는 도구로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자는 말했다. 이 테스트를 통해 치료에 협조하고자 하는 중독자가 치료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연구 결과는 이런 주의의 편향이 아편 중독의 재발 가능성이나 금연 실패를 예측하는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Streeter, C., Terhune, D., Whitfield, T., Gruber, S., Sarid-Segal, O., Silveri, M., Tzilos, G., Afshar, M., Rouse, E., Tian, H., Renshaw, P., Ciraulo, D., & Yurgelun-Todd, D. (2007). Performance on the Stroop Predicts Treatment Compliance in Cocaine-Dependent Individuals Neuropsychopharmacology, 33 (4), 827-836 DOI: 10.1038/sj.npp.130146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