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Cognition & Arts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창고, 차고, 다락방, 상자, 침대 밑, 기숙사 방..... 우리는 누구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자신만의 엉망진창 공간이 있다. 휴대폰 충전기, , 노트북 더미 에서 파란색 셔츠를 찾는다고 상상해보자. 며칠 뒤 당신은 배터리를 찾기 위해 그 아귀지옥을 다시 뒤져야 할 것이다. 실제로 이런 경험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심리학자인 Carrick Williams는 인간이 잡동사니로 가득한 방에서 찾고자 하는 물건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연구했다. 이 분야의 기존 연구는 target(목표자극) distracter(방해자극)의 기억 정도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표자극은 현재 찾고자 하는 물건을 말한다. 방해자극은 목표자극 주변에 널려 있지만 현재 내가 찾는 목표 물건이 아닌 대상을 말하며, 우리는 이를 무시하고 목표자극에만 집중하게 된다. 이런 연구들은 보통 시각 탐색 과제와 surprise memory test(처음에는 피험자에게 자극을 기억하라는 말을 하지 않지만, 실험 후반부에 아까 제시된 자극을 기억해보라고 하는 방법. 피험자가 예상치 못한 요구에 당황한다고 해서 surprise테스트다 역자 주)를 병행해서 사용한다. 피험자들은 여러개의 물건 속애서 목표 물건을 찾는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주변에 널려있는 방해자극은 색상, 모양 등이 목표자극과 유사해서 피험자를 헷갈리게 한다. 이후 Surprise memory task에서는 두 가지 물건을 제시하고 아까 봤던 물건이 어떤 것인지 물어본다. 이 때 두 사진은 한 물체의 다른 이미지를 보여줘서 피험자가 언어적 구분을 하지 못하게 한다(. 파란 셔츠). 이런 류의 연구들은 우리가 목표자극을 더 잘 기억한다고 설명한다. 또 목표자극과 색상이나 범주가 비슷한 방해자극도 기억이 잘 된다고 한다. 아래 그림은 파란 셔츠가 목표자극인 자극 세트의 예이다. 독자는 나중에 어떤 것을 기억하게 될까? 노란 양말? Pot?



기존 연구들은 시각 기억이 어떤 부호화 과정을 거치고 어떤 요소에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지 못했다. 본 연구자는 인간이 시각 기억을 업데이트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세가지 요인을 있을 거라고 가정했다. 첫번째는 전체 물건의 갯수, 두번째는 물건을 본 횟수와 시간, 세번째는 물체간 색상이나 범주의 유사성이다. 이번 실험에서 연구자는 시각 탐색 과제와 surprise memory task를 같이 사용하기로 했다. 또 아이트래커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초점이 물체의 어떤 부분을 자주, 오래 봤는지 측정하기로 했다. 이 실험이 기존 실험과 다른 점은 일부 자극 세트는 2번만 제시되는 반면, 다른 자극 세트는 4번 제시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출 횟수가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라 수 있게 되었다. 목표자극은 전체 제시 횟수의 절반 정도는 제시되지 않으며, 방해자극은 모든 자극 제시에서 나타난다.



24명의 참가자는 총 96개의 (물체)배열을 보게된다(32개의 구분되는 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절반은 두번씩, 나머지는 네번씩 제시된다)를 보게 된다. 한 배열은 12장의 사진이 들어있다. 12장 중 4장은 목표자극과 색상이 비슷하고, 또 다른 네 장은 목표자극과 범주가 비슷하다. 나머지 사진은 목표자극과 아무 연관이 없다. 각 배열이 제시되기 전에 화면에 목표물체를 단어로 표시해준다. (: ‘파란 셔츠’) 그 다음 12장의 사진이 화면에 나타난다. 참가자는 이 중 목표자극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해서 키보드를 누르게 된다. 위에서 제시했던 사진이 이 배열의 예시이다. 가장 위에는 파란 셔츠가 있고, 첫번째 줄은 목표자극과 같은 색상을 가진 물건들, 두번째 줄은 목표자극과 범주면에서 관련이 있는 물건들, 마지막은 무관한 물체들이 제시되었다

 

탐색 과제에 이어 참가자들은 surprise memory test를 받게 된다. 참가자는 두 장의 사진을 보고 어떤 사진이 앞전 실험에서 본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제시되는 사진들 중 일부는 언어적 단서와는 일치하지만 시각적 단서와 불일치한 경우다. 이는 참가자가 오로지 시각 기억에만 의존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파란색 폴로 셔츠가 앞 실험에서 제시되었다면, 기억 테스트에서는 파란색 티셔츠가 보기로 제시될 수 있다(앞 실험에서 제시 단어는 파란 셔츠였다. 아래 그림을 보여주게 된다면 피험자는 파란 셔츠라는 언어적 기억만으로 판단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둘 다 파란 셔츠이기 때문이다 역자 주)





참가자들은 총 128개의 기억 판단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자는 실험을 통해 이전 연구와 일관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목표자극은 방해자극보다 기억이 더 잘 됐다. 또 색상이나 범주에서 목표자극과 비슷한 방해자극은 무관한 방해자극보다 기억이 더 잘 됐다. 2번 보여주는 것과 4번 보여주는 것에도 차이가 있었다. (당연한 얘기지만)4번 보여주는 것이 기억을 도왔다. 목표자극이 전체 시행에 반에서만 제시된 것을 감안하면, 자극이 한번 제시되는 것보다 두번 제시되는 것이 더 도움이 되는 셈이다.

 

아이트래커 측정 결과 또한 흥미롭다. 물체를 응시한 시간이 기억력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또 방해자극을 아무리 오래 관찰한다고 해도 목표자극을 기억하는 데 별 지장이 없었다. 자극 제시 시간이 길어질 경우 피험자들은 방해자극을 더 오래 쳐다보는 경향이 있었다(하지만 기억이 더 향상되지는 않았다)

 

가장 재미있는 비교는 4번씩이나 제시된 방해자극과 1번만 제시된 목표자극의 결과일 것이다. 놀랍게도 1번만 제시된 목표자극의 재인률이 더 높았다.

연구자는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이 세가지 요인(제시 횟수, 제시 시간, 자극간 유사성)을 면밀히 분석해 봤다. 분석 결과 우리는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을 다른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시 횟수는 목표 자극과 관련이 있는 반면, 방해자극은 응시 시간과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는 두 자극의 질적 차이를 밝히는 초석을 마련했다.

 


Williams, C. (2010). Not all visual memories are created equal Visual Cognition, 18 (2), 201-228 DOI: 10.1080/13506280802664482

 




출처: Cognition & Arts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인간은 물체를 탐색하거나 잃어버린 개를 찾을 때 시각적 특징이나 일반적 의미지식을 모두 활용한다. 오늘 소개할 연구는 시각적 특징이나 일반 의미지식 중 어떤 것이 탐색 과제에 효과적인지를 탐구했다. 실종견 포스터는 그림으로 만드는 것이 좋을까, 글로 쓰는 것이 좋을까?


일 반 의미지식(general semantic knowledge)은 특정 장면에서 탐색하는 목표가 존재할 확률과 관련이 있다.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 집의 부엌에서 은수저를 찾는다면 틀림없이 주방 서랍을 먼저 열어볼 것이다. 은수저에 관한 당신의 의미지식은 탐색해야 할 범위를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만약 누군가 당신에게 포크와 나이프가 정원에 있다고 말해준다면 탐색 과제는 훨씬 어려워질 것이다. 왜냐하면 정원에 떨어진 은수저에 대한 지식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시각적 특징은 물체의 공간적 레이아웃이나 특징, 문맥을 말한다. 내 방에서 츄리닝을 찾는 것은 남의 방에서 츄리닝 찾기보다 쉽다. 왜냐하면 당신은 당신 츄리닝과 당신의 방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알기 때문이다.


일반 의미지식은 친숙한 장소에서 시각적 탐색과제를 돕는다. 사람들은 거실에 놓여있는 칫솔보다 화장실에 있는 칫솔을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시각적 특징 또한 탐색과제를 돕는다. 해당 물건을 찾기 전에 찾아야 할 장소를 미리 한번 보는 것은 탐색 과제를 용이하게 만든다.


일반적 의미지식과 시각적 특징이 시각 탐색 과제에 영향을 미친다면, 둘 중 어떤 경우가 탐색에 더 도움이 될까? Monica Castelhano와 Chelsea Heaven은 이 문제를 탐구해 보기로 했다.


이 연구는 32명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특정 물건을 찾기 전에 두 가지 단서를 화면에 제시한다. 첫번째 단서는 탐색을 하게 될 장소에 관한 단서이며 시각적으로 제시되거나 단어로 제시된다. 만약 탐색해야 할 장소가 부엌이라면, 첫번째 단서는 부엌의 사진을 보여주거나 또는 부엌이라는 단어를 화면에 제시하게 된다. 장소에 대한 단서가 주어진 후, 빈 화면이 제시되고 다시 탐색목표에 대한 단서가 제시된다. 만약 찾아야 할 물건이 포크라면, 참가자는 포크의 그림을 보거나 '포크'라는 글자를 보게 된다. 목표 단서가 제시된 후, '준비'라는 단어가 화면에 떠오르고 뒤이어 찾아야 할 장소가 제시된다. 이 화면은 14초동안 제시되며, 참가자는 물건을 찾은 다음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 결과 목표 단서를 시각적으로 본 참가자의 반응속도가 가장 빨랐다. 또, 장소에 대한 그림을 먼저 봤던 조건은 장소를 단어로 봤던 사람보다 물건을 더 빨리 찾았다. (시각적)목표 단서와 장소 단서 모두 물체 탐색에 도움을 준 것이다.


아래 그래프는 참가자들의 반응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장소, 목표 단서가 전부 시각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반응속도가 가장 빨랐다. 장소, 목표 단서가 전부 단어로 제시된 경우 반응속도가 가장 느렸다. 이는 일반 의미 지식이 느린 탐색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장소, 목표 단서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이는 장소, 목표에 대한 정보가 동일하게 중요함을 보여준다.


물체나 탐색 공간의 시각적 특징은 일반지식보다 탐색 과제에 도움이 됐다 이 결과에 근거할 때 실종견 포스터는 사진으로 제시할 경우 효과가 크다고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실종견 포스터가 사진을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사람들이 이미 이 방법의 효과를 알고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당신의 사랑하는 개를 빨리 찾고 싶다면, 실종견 포스터에 '사진'을 꼬고 붙여야 할 것이다.


Castelhano MS, & Heaven C (2010).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cene context and target features to visual search in scenes. 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2 (5), 1283-97 PMID: 206017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