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Ulterior Motives

번역 : 인지심리 매니아


이 세상은 수많은 대상으로 가득 차 있다. 우리는 매 순간 만나는 이런 대상들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만약 어떤 물체가 ‘의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우리는 그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 램프, 오븐 등과 같은 다른 물체에 대해서도 알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성인이 인공물(artifacts)과 동물을 보는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다. 인공물은 특정 목적을 위해 인간이 만든 대상인 반면, 동물은 진화 과정의 결과다.


인공물은 동물보다 훨씬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의자는 다리를 가지고 있고 받침대가 있을 수도 있다. 의자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또 다양한 색상을 지닐 수 있다. 어떤 물건이 의자라는 사실을 들었을 경우 우리는 (그것이 앉을 수 있는 물건이라는 정보 외에) 다른 정보를 얻기 힘들다.


반면, 특정 동물 간에는 유사성이 크다. 예를 들어 고양이는 네 발이 있고, 털이 있고, 유사한 내부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도 유사하다(따라서 어떤 동물이 고양이라는 말을 들으면 그 대상에 대한 추가적인 특징을 금방 추론할 수 있다 - 역자 주).


성인들은 동물과 인공물을 다른 방식으로 인지한다.


그럼, 인간은 언제부터 이런 동물과 인공물의 차이를 터득하게 되는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해 단정적인 대답을 할 수 없는 이유는 아이들에게 자신의 지식을 제대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지식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Amand Brandone과 Susan Gelman이 2013년 1월 Cognitive Development에 게재한 연구[각주:1]는 아이들이 동물과 인공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진술 방식을 조사했다. 특히 연구자들은 generic language에 관심을 가졌다. generic statement는 대상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진술을 말한다. 만약 누군가 “의자는 앉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라고 말했다면, 이 진술은 모든 의자에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누군가 “고양이는 야옹이라고 소리를 낸다"라고 말했다면, 이 진술 역시 모든 고양이에게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아이들이 인공물보다 동물 간 공통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면, 동물에 대해 얘기할 때 generic statement의 방식으로 말할 확률이 높다.


이 실험에서 5세 어린이들은 외계에서 온 물건이라고 소개 받은 대상을 묘사한 그림을 보게 된다. 이때 한 조건의 아이들에게는 이 물건이 인공물(기계, 탈것, 공구 등)이라고 소개해준 반면, 다른 아이들에게는 외계의 생명체라고 소개해줬다. 각 대상들에게는 특정한 카테고리 이름이 주어졌다. 예를 들면 어떤 대상을 보여주면서 이 대상의 이름은 “dax”라는 식으로 이름을 소개해줬다. 각 이름은 이전에 본 적이 없는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이들이 이전 지식을 활용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있었다.


그 다음, 어린이들은 눈이 보이지 않는다고 소개받은 인형에게 자신이 본 대상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이 실험은 어린이 뿐 아니라 성인들도 실험 대상에 포함시켰다.


연구자들은 어린이와 성인들이 사용한 언어를 분석했다. 특히, 이들이 대상을 진술을 할 때 generic statement를 얼마나 자주 사용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어린이와 성인은 생물체에 대해 진술할 때 generic statement를 더 자주 사용했다. 이는 학령 전 아동 역시 인공물보다 동물 간에 유사성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린이와 성인들이 non-generic language를 사용한 빈도는 인공물이나 동물의 경우 모두 같았다. 따라서 참가자들이 단지 인공물보다 동물에 대해 더 말하고 싶어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아이들이 새로운 대상을 학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이들은 특정 동물 간 유사성이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새로 발견한 동물이 기존에 알고 있던 동물과 공통점이 많을 거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인공물의 경우, 인공물의 특징보다는 기능을 발견하기 위해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Reference

  1. Amanda C. Brandone, Susan A. Gelman, Generic language use reveals domain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expectations about animal and artifact categories, Cognitive Development, Volume 28, Issue 1, January–March 2013, Pages 63-75, [본문으로]

글: 인지심리 매니아


인간의 사고과정은 신비하다. 인간이 언어를 배우고,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베일에 가려져 있다. 도대체 인간이 사고를 할 때 뇌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우리가 그 과정을 상세히 기술할 수는 없을까?

그런데 인간의 사고과정을 수학 공식으로 설명하는 관점이 있다. 바로 베이지안 접근법이다. 이 관점은 인간의 사고과정을 베이즈 정리로 설명한다.

P(h|d) = P(d|h) / P(d)
(h: 가설 d: 증거 )

이 간단한 공식으로 어떻게 복잡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설명할 수 있을까? Perfors et al(2011)[각주:1]은 어린아이의 귀납적 일반화 과정을 베이지안 추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범주이름 학습
 

출처: http://www.clublabrador.com

어린아이는 어떻게 범주 이름을 학습할까? 당신이 이제 막 말을 배우는 아이의 부모라고 상상해보자. 아이를 데리고 공원에 산책 나왔는데, 귀여운 래브라도 한 마리가 다가온다. 우리는 아이에게 얘는 래브라도야.’라고 가르쳐준다. , 아이의 머리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까?

 

아이의 머리 속은 폭발 직전일 것이다. 아이는 어쨌든 자기 앞에 있는 이 동물이 래브라도라는 사실을 배웠다. 하지만 아이는 며칠 전 공원에서 비슷한 동물(진돗개)을 본 적이 있다. 그럼, ‘래브라도라는 단어는 며칠 전 본 동물을 부를 때도 사용하는가? 아니면 네 발로 걸어다니는 모든 동물을 일컫는 것일까?

 

다행히 아이의 머리 속에는 이 문제를 해결할 규칙이 있다. 그 규칙은 바로 가장 좁은범주를 선택하는 것이다. , 아이는 자기 눈앞에 있는 이 동물만 래브라도이며, 지난 번에 본 동물(진돗개)은 래브라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만약 아빠가 이 신기한 동물과 똑같이 생긴 동물이 나타날때마다 래브라도라고 부른다면, 이 가정은 더욱 견고해진다. 반면, 아빠가 며칠 전 봤던 동물(진돗개)도 래브라도라고 부른다면 이 단어가 특정 동물()을 지칭한다고 가정할 것이다. 하지만, 그 때도 역시 최소 범위()를 가정한다. ‘래브라도가 동물 전체를 지칭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이다.

 

베이지안 관점은 이 현상을 우도로 설명한다. 앞에서 살펴봤듯이 우도란 P(d|h), 즉 가설이 참일 때 증거가 출현할 확률이다. 만약 이 동물(A)의 이름이 래브라도라고 가정하면, 이 가정이 맞을 때 실제로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출현할 확률은 P(래브라도라고 부름|A)가 될 것이다. 반면, 모든 개(B)를 지칭하는 단어가 래브라도라면 우도는 P(래브라도라고 부름|B)이 된다. 둘 중 어느 확률이 가장 높은가? 당연히 첫번째다. AB보다 발생빈도가 훨씬 적기 때문이다 (Fig.3 i에서 가장 작은 사각형이 A에 해당한다). 아이는 이렇게 증거가 참일 확률이 높은 가설을 선택한다(그림을 보면 검은 점은 가장 작은 사각형에서 나왔을 확률이 높아 보인다).

 

또 이 가정은 증거가 축적되면서 강화되는데, 이것 역시 우도와 관련있다.. 만약 아빠가 이 개랑 똑같이 생긴 개(A)가 출현할 때마다 래브라도라고 한다면, P(래브라도라고 부름|A)는 더욱 증가하기 때문이다(Fig 3. ii). 따라서 가장 진한 사각형(래브라도)이 지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제약
 
 

그 외에도 어린아이는 복잡한 귀납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몇 가지 규칙(제약, Constraint)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단어를 배울 때 그 단어가 사물의 일부분보다 전체를 지칭할 것이라는 가정, 주체는 객체와 달라서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는 가정 등이다.

 

어린아이의 머리 속에 있는 제약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가? 베이지안 관점은 제약이 학습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보자. 이제 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한 아이가 돼지와 골든 리트리버을 봤다고 가정해보자. 아이의 머리는 또 다시 복잡해진다. 이 이상한 동물들도 일까? 아이에게는 이 복잡한 문제를 정리해줄 제약이 필요하다.

 

 

그림4는 제약이 학습되는 과정을 잘 설명해준다. A가 래브라도, b가 골드 리트리버, c가 돼지라고 가정해보자. 학습자는 먼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가설()의 범위를 설정한다. , 개는 몸통 길이가 다양하지만(w)  몸무게(l)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따라서 가설공간은 l x w 의 긴 직사각형 모양이라는 제약이 형성된다. 그렇다면 b a와 같은 범주에 속할 확률이 높고, c a는 확률이 낮을 것이다. 학습자는 소수의 사례만으로도 재빠르게 제약을 만들어낸다.
 

베이지안 통계학을 배운 사람은, 이쯤에서 무언가가 번득 떠오를 것이다. 베이지안 관점은 가설에 대한 가설(l w, hyperparameters)베이지안 계층적 모형으로 설명한다. 계층적 모형을 사용하면 제약 뿐만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개념을 추상화하고, 그 개념을 또 추상화하는지 추적할 수 있다. 정말 신기하다. 수학적 모형으로 인간의 개념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니 말이다.

 

결론

인간의 사고과정은 신비하게 보이지만, 설명 가능한 과정임이 점점 드러나고 있다. 특히 베이지안 관점에 의하면 인간의 사고방식은 합리적인 수학적 판단과 다를 바가 없다. 물론 베이지안 관점에 대해서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다양한 사고과정을 수학적으로 무리없이 설명해 내고 있다. 카네만과 트버스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어쩌면 정말 직관적인 수학자일지도 모른다.

  1. Amy Perfors, Joshua B. Tenenbaum, Thomas L. Griffiths, Fei Xu, A tutorial introduction to Bayesian models of cognitive development, Cognition, Volume 120, Issue 3, September 2011, Pages 302-321, ISSN 0010-0277, 10.1016/j.cognition.2010.11.015. [본문으로]



글: Choke
번역: 인지심리 매니아

부모의 언어습관은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자녀가 부모의 언어와 행동을 모방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Developmental Science 저널이 지난주 소개한 연구[각주:1]에서, 심리학자 수잔 레빈와 연구팀은 부모가 자녀에게 공간 관련 단어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에 따라 (물체의 공간적 특징이나 속성을 말해 주는 것. 예, 크다, 길다, 원형이다, 둥그렇다, 날카롭다) 자녀의 학령 전 문제해결 능력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머리 속에서 물체를 회전하거나 복잡한 그래프를 읽는 능력은 수학 및 과학 문제를 풀기 위해 중요하다. 또, 공간 능력은 일상 생활에도 필수적이다. 신문에서 그래프를 읽거나 길거리를 걸을 때도 공간 능력은 중요하다. 레빈 박사와 동료들은 자녀의 공간능력이 부모에 의해 상당부분 결정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부모와 자녀의 대화를 관찰하기 위해 자녀가 생후 14개월일 때부터 4개월마다 한번씩 가정을 방문했다. 장난감 갖고 놀기, 책 읽기, 식사, 간식 등 부모와 자녀의 일상생활은 모두 녹화되었다. 자녀가 4.5세가 될 무렵 연구자는 마음 속에서 물체를 회전하는 문제를 자녀에게 풀게 했다.

조사 결과, 부모들이 공간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하는 양태는 매우 다양했다. 어떤 부모는 공간과 관련된 단어를 자주 쓰는 반면(주당 2000단어), 다른 부모는 거의 쓰지 않았다(주당 20단어). 재미있는 사실은 부모가 공간적 언어를 자주 사용하면 자녀 역시 공간적 언어를 자주 사용하며, 이 자녀들은 커서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우수했다는 점이다.

부모의 단어 사용이 어떻게 자녀의 공간 능력에 영향을 미친 걸까? 한 가지 가능성은 공간적 단어가(크다, 길다, 둥글다, 구부러졌다)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켰을 거라는 점이다. 이런 단어들을 자주 듣거나 사용하면 평소 주목하지 못했던 물체 간 관계에 민감해지기 때문이다. .

부모의 언어가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세히 밝히려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어쨌든, 자녀의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공간과 관련된 말을 자주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1. Pruden, S. M., Levine, S. C., & Huttenlocher, J. (2011). Children's spatial thinking: does talk about the spatial world matter? Developmental Science, 14, 1417-1430 [본문으로]

출처: Cognitive daily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Posted on: October 29, 2009 3:53 PM, by Dave Munger

Take a look at this face:

이 그림은 화난 얼굴일까 공포에 질린 얼굴일까? 아마 확답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성인의 절반은 위 그림이 화난 얼굴이라고 한 반면 나머지 절반은 공포에 질린 얼굴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연구자들은 아이들이 어른처럼 표정을 통해 감정을 포착하는 데 능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어린 아이들은 이 그림을 화난 얼굴이라기 보다 공포에 질린 얼굴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아이들이 5세 정도가 되면 어른 수준만큼 표정을 잘 읽어낸다고 한다.

 

하지만 Neuroscientist들은 주요 감정을 다루는 뇌 부분이 청소년기를 걸쳐 계속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해왔다. 만약 우리 뇌가 계속 변화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아이나 청소년들이 감정을 지각하는 방식에 개입해야하지 않을까?

 

Laura Thomas 연구팀은 아이들의 감정 지각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오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기존 연구들은 위 사진처럼 모호한 감정 대신 감정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다소 쉬운 과제를 사용해왔다. 이 연구에서 다룬 것들이 정말 유아와 청소년들의 미묘한 감정 지각 발달일까?

 

연구팀은 102명의 어린이, 청소년, 성인에게 각기 다른 표정을 하고 있는 10장의 사진을 보여줬다. 이 사진들은 사전에 화, 공포, 중립적 감정을 나타내는지 평정을 한 사진들이다. 감정이 분명히 드러나는 사진 대신 이들은 morphing software를 이용하여 피험자에게 여러 단계에 걸쳐 있는 감정들을 보여줬다. 그 예는 아래 그림과 같다.

맨 윗줄에  그림 1은 22.22% 화난 사진이고 그림 6은 77.77% 화난 사진이다. 가장 아래줄 그림 4는 44.44% 공포에 55.55% 화난 얼굴이다. 각 줄에 있는 사진들을 피험자들에게 무선적인 순서로 보여주고 감정을 평가하게 했다(예: 중립-화남). 각각 10개의 다른 표정을 한 사진이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각 사진들을 3초 동안 본 다음, 피험자들은 사진의 감정을(예: 중립 또는 화남)가능한 빨리 말해야 한다. 아래는 '중립-화남'의 결과이다.

 

성인은 유아나 청소년보다 화남-중립 표정을 잘 포착했다. 그림 1과 2에서 성인들이 어떻게 평가를 했는지 다른 그룹과 비교자보자. 이 사진들은 22.22%, 33.33% 화난 상태이고 성인들은 대부분 이 사진이 화난 얼굴이 아님을 알았다. 그림 5의 경우와(66.66%) 6의 경우(77.77%) 화난 사진이라고 말하는 성인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통계적으로 어른과 청소년의 차이는 유의미했다. 청소년과 어린이들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사한 패턴이 중립-공포, 공포-화남 조건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자들은 이 패턴이야말로 부모와 십대간 의사소통이 힘든 이유라고 말한다. 십대들은 부모들처럼 표정을 잘 읽지 못한다. 갑자기 한가지 의문이 생긴다. 이런 현상은 피험자들이 '성인'의 사진을 봤기 때문이 아닐까? 이 실험에서 피험자 전부가 동일한 성인의 얼굴에 봤기 때문에 만약 유아나 십대의 얼굴을 대상으로 했다면 또 다른 결과가 나왔을지 모른다.

 

Thomas, L., De Bellis, M., Graham, R., & LaBar, K. (2007). Development of emotional facial recognition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Developmental Science, 10 (5), 547-558 DOI: 10.1111/j.1467-7687.2007.00614.x

노라가 태어났을 때 짐은 이제 19개월이었고 단순한 언어 외에는 말을 하지 못했다. 우리가 짐보다 노라에게 신경을 쓰다보면 짐이 약간 질투심을 느끼는 것 같았다. 그래서 우리는 짐에게 인형을 하나 사주기로 했다. 짐은 그 인형을 세스라고 불렀다. 우리가 노라에게 수유를 할 때는 짐도 세스에게 똑같이 수유했고 우리가 노라의 기저귀를 갈아주면 짇모 똑같이 했다.

 

 

몇 달 동안 이런 식으로 짐의 주의를 딴 데로 돌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결국 짐은 세스를 돌보는 데 너무 많은 힘이 든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주방의 컵받침이나 아파트를 뛰어다니는데 정신을 팔기 시작했다. 짐은 세스를 여러 해 동안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0살 무렵 짐은 남자가 인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창피해지기 시작했나 본데, 그도 그럴 것이 그의 옷장에 인형이 처박혀 있었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오랫동안 남자 아이들이 '남자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이유를 놓고 고민했다. 그들은 남자 아이들이 천성적으로 딱딱하고 기계같이 생긴 것들을 좋아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주위에서 남자는 그런 식으로 놀아야 한다고 배워서 그렇게 행동하는지 궁금해했다. 마찬가지로, 여자아이들은 천성적으로 인형을 좋아하는가? 아니면 부모가 그렇게 행동하도록 만드는가? 연구자들은 18개월 무렵의 아이들이 전형적으로 성차가 두드러진 장난감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그보다 훨씬 어린 아이들의 경우는 어떻게 될지 불분명하다.

 

 

한 연구는 3-18개월된 아기들이 장난감을 어떻게 선호하는지를 사진 응시 시간으로 측정했다. 9개월정도 된 남자 아기들은 공, 블럭, 차, 인형 등을 선호했다. 하지만 18개월된 여자아이들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는 장난감 간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한가지 문제점은 측정상의 정확성이다. 아기들은 정말 자신이 좋아하는 사진을 더 오래 응시하는가, 아니면 단지 머리가 그 쪽으로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응시하는가?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로 연구자들은 유아들의 정확한 안구 운동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Gerianne Alexander팀은 6개월 된 아기들을 대상으로 성별간 선호하는 장난감이 다른지 연구했다. 30명의 아기들은 자동차 의자에 앉아서 눈 앞에 놓인 작은 인형 무대를 보게 된다. 인형무대는 커텐이 걷히면서 10초동안 장난감 2개를 보여준다(분홍색 인형과 파란색 트럭). 커튼이 내리고 난 다음에는 장난감의 위치를 바꾼다. 그리고 다시 커튼을 걷고 10초동안 아기에게 보여준다. 결국 각각의 장난감은 오른쪽 왼쪽에 동일한 시간동안 노출된다. 그 다음 각각의 장난감을 본 응시 횟수를 조사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와 여자아이 모두 트럭보다 인형을 많이 응시했고, 특히 여자는 남자보다 인형을 훨씬 더 많이 보고 트럭을 적게 봤다. 연구자들은 이 연령대의 아기들은 장난감을 움직이고 놀 능력이 없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전적으로 시각적 선호도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이 나이대의 아기들은 성에 관한 견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뿐더러 성을 구분할 수도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영향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리는 없다.

 

개인적으로 연구자의 논리가 완전히 수긍가는 것은 아니다. 흔히 여자 아기들은 어릴적부터 분홍색 옷을, 남자는 파란 색 옷을 입힌다. 또한 여자 아이한테는 인형을 주고 남자 아이한테는 트럭을 주기 마련이다. 따라서 아기들이 정말 선천적으로 장난감에 반응했는지 또는 성 역할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들은 어느 정도 성별에 따라 다르게 노출되어 있는 상태다. 독자들이 나의 의견에 동의하는지 모르겠지만, 중요한 건 여자아이가 굉장히 이른 나이부터 트럭보다는 인형을 좋아한다는 사실이다.

 

Alexander, G., Wilcox, T., & Woods, R. (2008). Sex Differences in Infants' Visual Interest in Toy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8 (3), 427-433 DOI: 10.1007/s10508-008-9430-1

 

출처: Cognitive Daily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6/six-month-olds_prefer_differen.php

'인지심리기사 > 지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경을 지각하는 방식  (0) 2011.07.31
아기가 좋아하는 색  (0) 2011.07.31
인간의 식사량 판단  (0) 2011.07.31
사진의 경계 너머도 기억하세요?  (0) 2011.07.31
우리 머리 속 음악 스케일의 배치  (0) 2011.07.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