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지심리기사 > 기억/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결정 후 지난 일에 집착하는 이유 (0) | 2011.08.02 |
---|---|
음악교육의 필요성 (0) | 2011.08.02 |
시각 기억을 증진하는 약 (0) | 2011.08.02 |
눈을 굴리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0) | 2011.08.02 |
음악가는 단어, 그림도 잘 기억한다. (0) | 2011.08.02 |
|
|
잘못된 결정 후 지난 일에 집착하는 이유 (0) | 2011.08.02 |
---|---|
음악교육의 필요성 (0) | 2011.08.02 |
시각 기억을 증진하는 약 (0) | 2011.08.02 |
눈을 굴리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0) | 2011.08.02 |
음악가는 단어, 그림도 잘 기억한다. (0) | 2011.08.02 |
아래 글은 [Cognitive daily]블로그의 게시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Last night in the U.S. many televisions were tuned to one of the
biggest spectacles of the year: the American Idol finale, where America
would learn which singer had been chosen as "America's favorite" (or,
more cynically, who inspired the most teenagers to repeatedly dial
toll-free numbers until all hours of the night). Greta and I are suckers
for this sort of thing, so we watched along with the rest of the
nation.
지난 밤에 대부분의 미국 사람들은 누가 'America's favorite'으로 뽑히는 지를 알기 위해 '아메리칸 아이돌 파이널'을 보고 있었다. 그레타와 나 또한 이 사람들의 대열에 동참하기로 했다.
What impressed me about the show wasn't so much the prodigious vocal
talents of the two finalists, but how everything was put together so
hastily: there had been only six days from the previous week's episode
(where the two finalists were revealed), and during this time each
finalist learned at least three or four songs. The musicians who played
along with them had no score to follow; they had to commit the songs to
memory. Everything went off without a hitch, because these professional
musicians routinely hold an astonishing variety of music in their
memories.
내가 깊은 인상을 받았던 부분은 결선에 올라온 사람들의 노래 실력이 아니라, 그들의 노래 배우는 속도였다. 지난 주 방영부터
결선까지 6일의 시간이 주어졌고, 그 동안 각각의 결선 주자들은 최소 3개에서 4개의 곡을 외워야 한다. 이들과 연주하는
뮤지션들은 따라할 악보도 없었다. 그들은 오로지 곡을 외워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막히는 데 없이 연주를 잘 해냈는데,
이런 프로 뮤지션들은 놀랄정도로 다양한 음악들을 기억에 저장하고 있다.
If you've ever seen a symphonic concerto, you probably noticed that
the soloist usually performs the entire piece -- lasting 20 minutes or
more -- from memory: thousands of notes, all played with perfect pitch
and intonation. Clearly many musicians have exceptional memories for the
songs they play. So does this ability to remember hundreds of songs
transfer into other types of memory? While there's been some research
into musicians' memory, the results have been mixed. Most studies show
that musicians have better memory for words than non-musicians, but
there's less evidence that musicians can remember spatial information
better. In one study, musicians couldn't recall locations on a map any
better than non-musicians.
만약 교향악 연주를 본 적이 있다면, 독주자가 20분 또는 훨씬 길게 솔로를 연주하는 것을 봤을 것이다. pitch와
intonation을 지키며 연주해야 할 음표가 수천개나 넘는데도 말이다. 확실히 많은 연주자들이 자신들의 곡을 외울 때 무언가
(일반적인 기억력과)다른 기억력을 발휘하는 것 같다. 이런 곡을 외우는 능력은 다른 종류의 기억력이 있음을 말해주는가? 그 동안
음악가의 기억력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결과들이 혼합되어 있다.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은 음악가가 non-musican에 비해
단어에서 월등한 기억력을 보인 반면, 음악가가 공간적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한 연구결과에선 음악가가
비전문가보다 지도 위치를 잘 못 외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So a team led by Lorna Jakobsen tested 36 college students, 15 of
whom had an average of 11.5 years of formal piano instruction and had
passed a rigorous performance examination, while the rest had less than a
year of musical training.
Two tests were given. In the first, the students listened to a list
of 16 words chosen from one of four different semantic categories (e.g.
birds, furniture, etc.). The list was presented five times, after each
of which they tried to remember as many words as possible. Next they
were presented a different list of 16 words as a filler interference
task. Then they were asked to try to recall the original 16 words again,
and accuracy was tracked. Then everyone took the separate visual test,
and after completing that (about 20 minutes later), they were again asked to remember the original 16 words again. How did they do? Here are the results:
Lorna Jakobsen은 36개의 college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피험자중 15명은 평균 11.5년동안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선발된 반면, 나머지 반은 1년도 채 못되는 음악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다.
두가지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1
먼저 학생들은 4개의 범주(e,g. 새, 가구 등)중 하나에 속하는 단어를 총 16개 듣는다. 이 목록은 다섯 번 제시되고,
목록 제시 후 최대한 많은 단어들을 기억해야 한다. 그 다음 또 다른 16개의 단어가 방해 과제로 제시된다. 그 후에 그들은
또다시 처음 제시됐던 단어들을 회상해야 한다. 그 다음 피험자 전원은 시각 테스트를 거치고, 그 후에(20분 뒤) 또다시 처음
제시되었던 단어들을 기억해야 한다.
1 2 3 4 5 6
단어 과제 A -> 회상검사(A) -> 단어 과제 B -> 회상검사(A) -> 시각 검사 -> 회상검사(A)
결과는 다음과 같다.
The students were actually tested on the words in two different ways:
free recall, and cued recall, which was a multiple-choice test. The
musician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non-musicians in every
test except the short-delay free recall. So this confirm!ed the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musicians are better than non-musicians at
remembering words.
학생들이 회상검사를 받을 때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나는 자유 회상과제였고, 또 하나는 multiple
choice 과제였다. 음악가들은 비전문가보다 수행이 뛰어났다(단어 제시후 바로 기억을 하게 한 경우는 제외). 이 결과는
음악가들이 비전문가보다 단어 기억 능력이 뛰어남을 증명해준다.
The interference task was similar, but it focused on visuals. The
students saw 15 simple drawings, presented one at a time. The drawings
all consisted of a single line and a dot, arranged in different
orientations. As with the word task, the students saw the pictures five
times, trying to draw by hand as many of the pictures as they could
recall each time. After they had done the word memory test, they
returned about 15 minutes later to see how many of the drawings they
could remember. The results were similar: musicians remembered
significantly more of the drawings than non-musicians.
실험2
실험2에서의 방해과제는 실험 1과 유사했지만 주로 시각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학생들은 15개의 간단한 그림들을 한번씩
보게 된다. 그림들은 단일 선들과 점들로 이루어져있고 전부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학생들은 단어태스크와 함께 그림들을
다섯번씩 보면서 기억해낼 수 있는 최대한 많은 그림들을 손으로 그리게 했다. 학생들이 단어 과제를 수행한 다음 15분 후에 얼마나
많은 그림들을 기억해 낼 수 있는지를 알아봤다. 결과는 실험 1과 비슷했다. 음악가들이 비전문가보다 훨씬 많은 그림을 기억했다.
The researchers also paid careful attention to how the
students were recalling both the words and pictures. Musicians, they
found, used different strategies. With words, they were more likely than
non-musicians to group the words into similar categories (like "eagle"
and "robin"). With the pictures, non-musicians tried to verbalize the
pictures, while musicians did not.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어떤'방식으로 기억을 하는지도 유심히 관찰했다. 음악가들은 일반인과 다른 전략을 사용했다. 단어 기억
테스트시 음악가들은 단어들을 유사한 범주로 묶어서 기억했다. 그림 기억 테스트의 경우 일반인들은 그림을 언어화하여 외우는 반면,
음악가들은 그렇지 않았다.
In both cases, the musicians' strategie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and they also seem to duplicate strategies experts use to remember
large quantities of information: they chunk it into related groups so
that it's easier to recall later on. When they remember songs, musicians
rely on the fact that the note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in fact
are no better than non-musicians at remembering random sequences of
notes). They appear to apply a similar strategy to other memory tasks.
두 경우에 비추어보건데, 음악가들의 기억 전략은 매우 효율적이며 기억 수행에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전략과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가들은 단어들은 연관된 그룹으로 묶어서 회상이 쉽게끔 만든다. 음악가들은 곡을 기억할 때 하나의
음표와 다른 음표가 연결되어 있는 방식에 근거해서 기억을 한다(음악가나 일반인에게 무선으로 배열된 음표를 들려주면 기억력 수행에
차이가 없다). 음악가들은 음악 외에 다른 분야에도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Jakobson, L., Lewycky, S., Kilgour, A., & Stoesz, B. (2008). Memory for Verbal and Visual Material in Highly Trained Musicians Music Perception, 26 (1), 41-55 DOI: 10.1525/mp.2008.26.1.41
출처: Cognitive daily.
잘못된 결정 후 지난 일에 집착하는 이유 (0) | 2011.08.02 |
---|---|
음악교육의 필요성 (0) | 2011.08.02 |
시각 기억을 증진하는 약 (0) | 2011.08.02 |
눈을 굴리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0) | 2011.08.02 |
음악을 회상해 낼 때는 가사가 효과적이다 (0) | 2011.08.02 |
Posted by Princess Ojiaku at 9:14 AM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우 리는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 여러 종류의 감정을 느낀다. 특히, 음악을 듣는 도중 소름이 돋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이 ‘소름 돋는’ 경험은 대체 무엇일까? 어떤 이유 때문에 우리는 음악 감상을 좋아하는 것일까? 일단의 연구자들은 음악 감상 도중 경험하는 좋은 느낌이 신체의 감정적 반응과 관련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해 봤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26명의 참가자들에게 신체 반응을 측정하는 장비들을 착용하게 했다. 이 장비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음악을 듣는 동안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지 측정하게 된다. 이 장비들을 아래 그림과 같다.
로 봇의 손처럼 생긴 장비와 몸통에 착용하는 장비는 청취자의 심장 박동수와 호흡수, 체온, galvanic skin response(GSR), bllod volume pulse(BVP) amplitude를 측정한다. 청취자들은 자신이 평소 좋아하는 곡을 듣게 되므로 정서적 고양이 되기 쉬울 것이다. 연구자들은 통제조건으로 청취자들에게 중립적이거나 지루한 음악(사전에 참가자들이 평정을 했다)을 들려주고 신체반응을 측정했다.
실험자들이 방음이 되는 방에서 음악을 듣는 동안 장비들이 신체 반응을 측정하게 된다. 참가자들은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손에 부착한 장비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정확히 무슨 뜻인지 모르겠음- 역자주) 자신의 감정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척도는 1-3(1=중립 2=low pleasure 3=high pleasure)까지 이며 4는 “chills"(최고조 상태)를 나타낸다.
결과는 흥미로웠다. 위에서 언급한 신체적 반응들은
청취자가 지루한 상태일 때와 즐거운 상태일 때 완전히 달랐다. 좋아하는 음악의 경우 청취자의 신체 반응이 전반적으로 높은 상태인
반면 지루한 음악은 그렇지 않았다. 재미없는 음악을 들을 때 내 심장이 뛰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또 참가자들이 가장 즐거운 상태라고 보고한 시점에서 chill을 많이 보고했다. 80%의 chill은 최고로 즐거운 상태일 때 보고되었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chill이 발생한 시점과 정서적 신체 반응이 일어난 시점이 일치한다는 점이다. 아래 그래프를 보자.
각
박스는 5개의 신체 측정치를 나타낸다. chill을 경험할 때 모든 신체 반응이 정점에 이른다. 오직 skin surface
temperature과 BVP amplitude만이 예외였다. 하지만 이 반응들은 chill을 경험할 때 가장 ‘낮은’반응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 음악을 들을 때 주관적인 정서 상태와 객관적 신체
상태간 높은 상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음악 청취 시 강한 정서적 즐거움을 경험할 때는 신체 반응 또한 수반한다는 이야기다.
물론 이런 사실은 상식에 가깝지만, 이 결과는 과학자들에게 “왜 음악이 신체/정서적 반응을 일으키지”라는 물음을 던져준다.
일
반적으로 정서적 반응은 기능적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존재한다. 음식을 섭취하는 즐거움은 인간의 활동을 유지해주며 친구와의 유대는
우리를 기쁘게 만들고 사람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감정은 우리 생존에 필요한 행위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음악은 인간의 생존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면서도 우리를 즐겁게 하는 유일한 예외이다.
P.S.
Another fun thing to do with the paper is to check out what music the
initial pool of subjects picked for the study as their favorites (this link opens a doc file with the full list). As with any wide pool of people, the results range widely!
Salimpoor VN, Benovoy M, Longo G, Cooperstock JR, & Zatorre RJ (2009). The rewarding aspects of music listening are related to degree of emotional arousal. PloS one, 4 (10) PMID: 19834599
회전하는 타원과 착시현상 (0) | 2011.07.31 |
---|---|
유아들은 말보다 음악을 좋아한다? (0) | 2011.07.31 |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0) | 2011.07.31 |
음악이 머리 속을 계속 맴도는 현상 (0) | 2011.07.31 |
사람은 얼굴 탐지 시 색상을 고려하는가? (0) | 2011.07.31 |
Category: Movement and exercise • Music • Research
Posted on: June 11, 2009 5:15 PM, by Dave Munger
많은 연구들은 우리 머리에 일종의 '숫자 배열'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 SNARC 효과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숫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때문에, 왼손은 작은 숫자에 빠른 반응을 보이는 반면 큰 수는 오른손이 빠른 반응을 보인다고 설며안다. 유사한 연구들은 이 효과가 글자의 경우에도 적용됨을 발견했다.
따라서 음계에도 이와 유사한 효과가 발견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이 효과를 SMARC효과라고 부를 수 있겠지만, 사실 음표가 하나하나 주어지면 그것은 '음악'이 아니다. Pascale Lidji팀은 소위 SPARC효과(공간적인 pitch와 반응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많은 언어에서 '낮음'과 '높음'은 음악의 고저와 물리적인 위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또 피아노의 낮은 음계는 왼손이, 높은 음계는 오른손이 연주한다.
실험은 간단하다. 16명의 학생들에게 음악을 들려주면서 피아노 소리가 나면 왼손으로, 바이올린 소리가 나면 오른손으로 버튼을 누르게 했다. 피험자들은 200개의 음표를 들었지만, 음표들의 고저는 4가지 중 하나로 국한되었다(C3, G3, E5, B5). 학생들은 모두 음악에 관해 비전문가였으며, 이 결과를 16명의 음악 전문가(그 중 일부는 학생, 일부는 전문가였으며 모두 8년 이상 음악 교육을 받았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그래프는 오른손과 왼손의 반응시간 차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오른손이 느리게 반응했을 경우 결과는 양수를 나오고 왼손이 느렸을 때는 결과가 음수를 나오게 된다. 비전문가의 경우 SPARC 효과가 없었다. 비전문가는 음악의 높낮이에 따라 반응시간이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음악 전문가의 경우, 오른손은 낮은 음계에 느리게 반응했고 높은 음계에 빠르게 반응했다. 이거야 말로 진짜 SPARC 효과다.
연구자들은 다시 실험을 반복했다. 이번엔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환했다. 학생들은 바이올린 소리를 들을 때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피아노 소리를 들었을 땐 아래 버튼을 누르게 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제 음악 전문가나 비전문가 모두 SPARC 효과를 보인다. 위에 있는 손은 낮은 음계에 느리게 반응하고 높은 음계에 빠르게 반응한다. 추가 실험에서 연구팀은 비전문가 집단도 수평적으로 배치된 버튼을 누를 때 SPARC 효과를 보이는 것을 관찰했으나, 이 경우는 악기를 구분하는 경우가 아니라 음의 높낮이에만 집중하게 한 경우였다. 연구팀은 또 피험자에게 두 음표의 높낮이를 비교하게 해 봤는데, 결과는 일관되지 않았다.
음악 전문가들은 음악의 높낮이를 좌-우로 매핑하는 것처럼 보이며, 음의 높낮이 외에 다른 것에 반응하게 할 때도 (무의식적으로)나타난다. 반면 비전문가들은 음의 높낮이를 생각할 때만 이런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여러 개의 음표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이런 효과는 사라진다.
Lidji, P., Kolinsky, R., Lochy, A., & Morais, J. (2007). Spatial associations for musical stimuli: A piano in the hea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3 (5), 1189-1207 DOI: 10.1037/0096-1523.33.5.1189
출처: Cognitive Daily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6/musical_snarc_do_we_have_a_mus.php
풍경을 지각하는 방식 (0) | 2011.07.31 |
---|---|
아기가 좋아하는 색 (0) | 2011.07.31 |
인간의 식사량 판단 (0) | 2011.07.31 |
사진의 경계 너머도 기억하세요? (0) | 2011.07.31 |
남녀아기의 장난감 선호 차이 (0) | 201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