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BPS Research Digest

번역: 인지 심리학 매니아

 

 

컴퓨터를 통한 두뇌 트레이닝을 6주 동안 하더라도 트레이닝에 포함된 과제 외에 다른 능력은 향상되지 않는다. BBC가 주관한 ‘Bang Goes The Theory’ 프로그램에 참여한 11,000명의 참가자로부터 얻은 결과다.


MRC Cognition and Brain Sciences Unit의 Adrian Owen과 그의 동료들은 먼저 참가자들에게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두뇌테스트를 시켜봤다.freely available 이 테스트에는 추론, verbal 단기 기억, 공간 작업기억, paired-associates learning(장기 언어 기억)이 포함되어 있다.

 

참 가자들은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첫 번째 그룹은 하루 10분씩 일주일에 세 번 컴퓨터를 통한 두뇌 트레이닝을 했다. 이 훈련은 총 6주 동안 이어졌다. 이 트레이닝은 추론, 계획과 문제해결을 훈련시킨다. 두 번째 그룹은 같은 시간 동안 단기 기억, 주의, 시공간 처리, 수학과 관련된 다양한 훈련을 받았다. 이 집단은 시중에 유통되는 두뇌 프로그램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통제 집단은 같은 시간 동안 퀴즈 문제에 대한 답을 인터넷으로 검색하게 했다.

 

세 조건 모두 자신이 훈련 받은 과제에 대한 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처음에 했던 온라인 테스트를 다시 해 본 결과 다른 능력으로 일반화되지 않았다. 온라인 테스트와 트레이닝의 과제가 유사한 인지적 기능을 수반하는데도 말이다.

 

두 뇌 트레이닝 조건의 훈련 효과는 일반 지식 문제의 답을 구글로 찾는 과제를 수행하게 하자 통제집단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한 예로 숫자 기억 능력의 변화를 보자. 연구가 종료될 무렵 통제 집단은 수십개의 숫자 중 2개 정도를  기억했다. 그러나 두뇌 트레이닝 집단은 수 백개 중 3개 정도를 기억했다. 통제 집단보다도 오히려 효과가 없었던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일반 성인 표본을 대상으로 두뇌 트레이닝을 실시해도 전반적인 인지 기능이 향상되지는 않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자는 말했다. 하지만 두뇌 트레이닝의 기간이 너무 짧았던 탓은 아닐까? 훈련 세션의 숫자와 관찰된 트레이닝 효과간 부적 상관이 있는 점을 볼 때 기간 탓은 아닌 것 같다. ‘만약 다양한 과제를 훈련시켰다면 효과가 나타났을 수도 있다’고 연구자는 덧붙였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hared and discussed on Bang Goes The Theory on BBC One at 9pm on 21 April and on the BBC's Lab UK website.


이 결과는 그 동안 두뇌 트레이닝이 효과 없다는 의심을 더하게 하는 최신 연구이다. 2008년 연구(2008 investigation)에서는 어떤 상업적 두뇌 트레이닝 제품의 주장도 지지 받지 못했다. Adrian Owen은 건강한 식단, 운동, 정신적 활동(악기를 배우거나 퍼즐 풀기 등)이 건강한 두뇌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추천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M. Owen, A. Hampshire, J.A. Grahn, R. Stenton, S. Dajani, A.S. Burns, R.J. Howard, & C.G. Gallard (2010). Putting brain training to the test. Nature [In Press].
Link to interactive website featuring the benchmark cognitive tests used in the current study, including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Link to Which? investigation of brain training products.
Link to BBC Bang Goes The Theory programme.
Link to recent feature article in The Independent on brain training.

출처: Connections research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August 10th, 2009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는 최근 cognitive load theory를 다뤄왔다. 나는 최근 collaborative learning과 관련된 논문들을 포스팅했다. 그 중 두 번째 논문은 뉴런이 어떻게 인지적 부담을 줄이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Van Gog, Paas, Marcus, Ayres & Sweller는 우리에게 mirror neuron을 상기시켜준다. mirror neuron은 우리가 실제로 어떤 행동을 하거나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지켜볼 때 활성화 되는 뉴런이다. 이 뉴런은 우리가 관찰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자들은 비디오나 애니메이션을 통해 동작을 배우는 경우 이 뉴런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관찰해봤다. 이런 학습 과정에서는 매우 역동적인 표상이 형성되어야 하는지 이는 인지적 부담을 증가시킨다. 우리는 학습 과정에서 정보를 처리하거나, 기억하거나, 관련 정보를 묶기 위해서 mental resource를 소모해야 한다. 이 때 mirror 뉴런이 활성화되고 눈으로 관찰한 정보들을 저장함으로써 인지적 부담을 줄여준다(따라서 정교화[elaboration]할 용량이 남게 된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다음 진술이 사실이어야 한다. 1) 학습 시 기계의 움직임보다 사람의 움직임이 훨씬 효율적으로 학습되어야 한다(mirror neuron은 인체의 동작을 훨씬 잘 기억할 것이기 때문에) 2)이 뉴런들은 정지된 동작보다 움직이는 동작에서 훨씬 많이 활성화 될 것이다.

 

이 논문의 두 번째 섹션에서는 이 mirror 뉴런들이 인지적 기술 또한 저장하는지를 질문을 던진다. 이런 기술들은 소리 내서 말하거나 예시를 들지 않는 이상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추후 연구는 이 뉴런들이 이런 상황에서도 도움을 주는지 밝혀내야 할 것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뇌-기반’ 학습이 뜨거운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최근의 연구들이 찾아내는 결과는 비단 교육자들의 관심사에만 부합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여전히 뇌가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는지 잘 모를 뿐더러, 이를 복잡한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문제는 더더욱 어렵다. 하지만, 이 논문은 우리를 무지로부터 한 발짝 벗어나게 해 주고 있다.

 

Gog, T., Paas, F., Marcus, N., Ayres, P., & Sweller, J. (2008).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Observational Learning: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Dynamic Visualiza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1 (1), 21-30 DOI: 10.1007/s10648-008-9094-3

 

출처: Scienceblog(Neurophilosophy)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이 짧은 동영상은 같은 장소를 촬영한 두 사진을 보여준다. 동영상을 잘 보고 두 사진간 차이점을 찾아보라. 사진을 탐색하는 동안 눈동자가 이곳 저곳으로 움직이며 가장 중요한 특징들을 찾게 된다. 그리고 심지어 당신이 의식적으로 사진간 차이를 알아채지 못해도, 당신의 뇌는 이를 알아차린다. 이런 암묵적 형태의 기억을 relational memory(e.g 내 방에 창문이 어디 있었더라? – 역자주)라고 한다. 이 경우 뇌는 이미지에 있는 아이템들의 지각적 관계를 부호화한다. 최근 연구들은 relational memory의 인출이 안구운동에서 더욱 분명하다고 설명한다. 비록 우리가 의식적으로 두 사진간 차이를 모를지라도 우리의 눈은 차이가 나는 지점을 더욱 많이 응시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relational memory의 인출이 서술지식(오늘 먹은 아침 메뉴, 지난 주말에 한 일 등)과 동일한 뇌 활동을 수반하는지는 불분명하다. 서술지식은 medial temporal lobe에 있는 해마(Hippocampus)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자들은 무의식적인 relational memory의 인출이 해마와 관련이 있으며 이 부위의 활동을 통해 기억을 회상하는 와중에 수반되는 안구운동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마가 기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1950년대에 선구적 신경심리학자인 Brenda Milner가 밝혀냈다. 해마는 의식적인 기억과 관련이 있지만 최근의 한 연구는 기억이 해마보다 전두엽에 더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해마와 relational memory의 관련은 여전히 불분명했다. 아직까지는 해마의 활성화가 의식적 기억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Deborah Hannula와 Charan Ranganath는 relational memory에 수반되는 안구운동이 해마의 운동과 어떤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들은 18명의 참가자에게 간단한 기억 과제를 수행하게 한 뒤 fMRI를 사용해봤다. 실험의 첫 번째 block에서 참가자들은 일련의 배경(scenic) 사진을 봤다(각 1초씩 제시). 그 뒤 이 사진 위에 사람 얼굴사진이 같이 제시된다. 두 번째 block에선 배경이 2초 동안 제시되고(인출 단서), 잠깐의 대기 후에 세 명의 얼굴이 동시에 제시된다. 참가자들은 어떤 얼굴이 장면과 함께 제시됐는지 버튼을 눌러서 결정한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참가자의 안구운동을 아이트래커로 추적했다.

 

연 구진은 두 번째 block에서 보여준 배경 사진이 relational memory를 인출하고, 참가자들은 정답인 얼굴 사진을 더 오랜 시간 응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예상대로 참가자들은 정답인 얼굴 사진을 더 오래 응시했다. 이것은 배경-얼굴 연합을 의식적으로 회상해냈기 때문이 아니다. 참가자들은 심지어 틀린 답을 고른 경우에도 정답인 얼굴을 더 오래 응시했기 때문이다. 또 어느 얼굴이 정답인지 모른다고 말한 경우에도 정답사진의 응시시간은 길었다.

 

fMRI 자료 또한 이를 증명해준다. 해마의 주변 medial temporal lobe 영역의 활성화가 정답인 사진을 응시하는 동안 활성화되었고, 이는 참가자가 의식적인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해마의 활성화는 정답인 얼굴을 가려내는 경우 증가했으며, 잘못된 답을 고르거나 답을 모른다고 한 경우에도 증가했다.

 

얼굴 탐색의 정확성은 뇌의 특정 활성화 패턴과 관련이 있었다. 모든 trial은 해마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정확한 답을 찾은 경우(부정확한 경우는 제외) 인출단서의 제시와 함께 perirhinal cortex(해마와 인접한 부위임), left dorsolateral,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dlPFC, vlPFC)의 활성화가 증가했다. 영상 자료를 추가 분석한 결과 세 얼굴 사진이 제시되는 동안 medial temporal lobe와 전전두엽 피질의 활성화가 서로 관련 있었다.  이는 해마가 독자적으로 relational memory를 인출하는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만, 전전두엽 피질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의식적인 기억을 회상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해마의 활성화는 relational memory가 인출되는 동안 수반되는 안구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의식적인 자각이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암묵 또는 명시적인 기억 인출 또한 구분되는 뇌활동 패턴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자는 이 결과에 보다 깊은 의미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유아들의 기억을 연구해보거나 기억하기 싫은 기억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 발생하는 회상 실패를 연구해 볼 수 있다. 정신분열증의 경우 확실히 memory deficits을 보이는데 연구자는 이들의 안구패턴을 통해 환자들이 금방 배운 장면에 대한 변화를 눈치채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Hannula, D. E. & Ranganath, C. (2009). The Eyes Have It: Hippocampal Activity Predicts Expression of Memory in Eye Movements. Neuron 63: 1-8. DOI: 10.1016/j.neuron.2009.08.025.

출처: Dr. Shock A Neurostimulating Blog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시간 관리는 주어진 시간 내에 과제들을 완료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과제에 가중치를 주어서 어떤 과제를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지 정한다. 당신은 과제를 조직하고 기억하기 위한 방법(to-do list)들을 사용함으로써 과제를 한꺼번에 생각할 때 발생하는 인지적 부담을 줄이려 할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시간을 쪼개고 과제를 완수하는 데 소요될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다. 나는 보통 “Getting Things Done” or GTD를 통해서 시간을 관리한다.

 

기억은 확실히 시간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듯 하다. 당신은 나중에 해야 할 일이나 미래의 어느 시점에 완료해야 할 과제를 기억하기 위해 미래계획기억(Prospective memory)를 필요로 한다. 당신은 과거에 했던 일들을 기억하기 위해 과거 경험에 대한 기억(retrospective memory)을 떠올린 다음 차후에 무엇을 해야 할지 결정할 것이다.

 

최근의 한 연구는 19-59세의 학부생 425명에게 시간 관리와 기억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다.

 

미 래계획기억과 과거기억이 우수한 학생은 목표를 세우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경향이 강했고, 과제를 organizing하는 방법을 선호했다. 이들은 기억 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에 비해 시간을 잘 관리하고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해야 할 일을 목록으로 작성하거나, 시간표를 세우거나 과제에 방해되는 일을 피하는 것이 기억과 아무 상관이 없었다는 점이다.

 

결국 기억이 좋은 학생들이 시간관리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인지, 아니면 기억이 좋기 때문에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추후 연구는 이런 시간관리 전략이 기억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봐야 할 것이다.

시 간 관리를 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이와 비슷한 것을 계획하는 사람에게는 안 좋은 소식이다. 하지만 머리 속에 별다른 정보가 없는 사람들에게도 그다지 나쁜 소식이 아니다. 왜냐면 기억력이 좋지 않은 사람은 주의를 분산시킬 정보가 머리에 많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도 덜 받고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명심해야 할 것은 이 결과는 상관일 뿐이면 상관은 인과관계와 다르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가 왜 중요한가?

이런 류의 연구들은 시간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사람을 구분해 낼 수 있다. 확실히 시간 관리는 한 가지 차원에서만 고찰할 일이 아니다. 개인차 또한 중요할 수 있고 따라서 각 개인에게 맞는 시간 관리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Macan, T., Gibson, J., & Cunningham, J. (2010). Will you remember to read this article later when you hav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pective memory and time manage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DOI: 10.1016/j.paid.2010.01.015

 

 

Post-traumatic disorder(PTSD)의 특징 중 하나는 생생한 시각 기억이다. 이 기억은 머리 속에 침입하는 ‘언어적’ 생각과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다. Chris Brewin의 dual-representation theory of PTSD 이론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Brewin의 이론은 두 가지 기억 체계를 가정한다. 하나는 감각을 기반으로 하며 고정적이고 자동적으로 처리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의식적으로 처리되며 언어로 표현된다. 이 이론에 의하면 외상 기억은 감각 기반의 기억 체계에 의존한다. 생각 속으로 쉽게 침투하는 이 기억은 장면, 소리, 냄새 등 원래 체험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새 실험에서는 79명의 참가자에게 자동차 사고 장면 비디오를 보여줬다. 이 비디오는 사고와 사고에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참가자 중 한 조건은 조용히 비디오를 보게 한 반면, 다른 조건의 참가자는 최면을 걸어 움직이지 못하게 했다. 기존 연구들은 가만히 있는 것이 트라우마를 일으킨다고 설명하는데, 이것이 공포에 사로잡힌 상황을 상기시키기 때문인 것 같다. 마지막 조건의 참가자들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자동차 사고 비디오를 본 뒤 일주일 동안 참가자들은 ‘언어’ 또는 ‘이미지’가 생각 속으로 침투했는지를 기록했다. 실험결과 중 주목할 점은 비디오를 보는 동안 가만히 있었던 집단이 자유롭게 움직인 집단보다 외상 경험을 더 많이 보고했다는 사실이다. 반면 언어적 외상경험은 조건간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다만 이번에는 참가자들의 행동을 통제하는 대신 참가자들에게 각기 다른 비디오(중립적 내용이 있는 영상과 자동차 사고 영상)를 보여주었다. 자동차 사고 영상은 중립 자극과 비교했을 때 시각적 이미지를 계속 떠올리게 했지만 언어적 사고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두 실험 통틀어 비디오를 본 뒤 무섭거나 끔직한 기분을 보고한 참가자들은 또한 끊임없이 침투하는 시각적 영상을 체험했다. 반면 언어적 사고는 mood effect와 관련이 없었다.


실 험 결과 intrusive visual imagery는 intrusive verbal thought와 분리된 현상이며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 같다고 연구자는 말한다. 'Understanding these basic processes is likely to be valuable in developing more effective treatments for PTSD that focus on maximising change in verbal thoughts and intrusive images separately,' they conclud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Hagenaars, M.A., Brewin, C.R., van Minnen, A., Holmes, E.A., & Hoogduin, K.A.L. (2010). Intrusive images and intrusive thoughts as different phenomena: Two experimental studies. Memory, 18 (1), 76-84 DOI: 10.1080/09658210903476522

출처:BPS Research Digest

번역:인지심리학 매니아

 

덴마크의 심리학자들이 ‘억압’에 대한 논쟁에 마침표를 찍었다. 정식분석학을 통해 유명해진 이 개념은 부정적 기억이 의식 바깥에 묶여 있다고 설명한다.


코 펜하겐 대학의 Simon Nørby와 동료들은 학부생들에게 cue word와 관련 없는 단어들을 짝지어 제시했다. 기존 연구들은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어떤 단어들을 기억하는 동시에 몇몇 단어들을 잊어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짧은 시간 동안에 일어나는 일이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이 긴 시간- 일주일 정도- 동안에도 일어나는지 알고 싶었다. 또 부정적 단어를 중립단어보다 쉽게 망각하는지도 궁금했다. Past research has suggested they can, but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block emotional word pairs altogether in series of themed trials, thu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ir impact may have been diminished by habituation. 그래서 연구팀은 중립단어와 부정적 단어를 모두 섞음으로써 이 문제를 피했다.


참가자들은 총 70 개의 단어쌍을 보게 된다. 그 다음 연구자가 어떤 목표 단어를 의도적으로 망각하거나 기억해야 하는지 가르쳐줬다. 이어진 training 세션에서 참가자들에게 기억해야 할 단어쌍을 보여주거나(이때 참가자가 target word를 기억하지 못하면 실험자가 target word를 말해준다) 망각해야 할 단어쌍(이때 참가자들은 target word를 계속 억압해야 한다)을 보여줬다. 이후 참가자들에게 모든 단어들을 회상해 보라고 지시했다.


테 스트 결과 참가자들이 망각 조건에서 중립단어를 잘 억압했음을 보여줬다. 망각해야 할 중립단어의 회상률은 기저선인 80%에서 70%로 감소했다. 반면 기억해야 할 단어의 회상률은 95%로 상승했다. 반면 망각 조건에서 부정적 단어는(e.g. massacre, incest)여전히 기억 속에 남아있었고 기억해야 할 정서적 단어조건과 회상률에서 차이가 없었다.


일 주일 뒤 다시 검사를 했을 때 망각해야 할 정서단어와 중립단어는 기억해야 할 단어조건과 회상률에서 차이가 없었다. 일주일 동안 망각해야 할 단어가 기억해야 할 단어보다 생생하게 기억됐던 것이다. 이 결과는 ironic ‘suppression rebound effect’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볼 때 중립자극은 짧은 시간 동안 억압이 가능하지만 일주일은 안 된다. 부정적 자극은 의도적인 억압이 힘들다. 이 결과는 정신분석학에서 주장하는 ‘억압’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결과이기도 하면서, 외상 연구들의 주장과 일치한다. 즉, 정서적 기억은 일반적인 기억보다 훨씬 오래간다는 뜻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Nørby S, Lange M, & Larsen A (2010). Forgetting to forget: on the duration of voluntary suppression of neutral and emotional memories. Acta psychologica, 133 (1), 73-80 PMID: 19906363

아 마 여러분은 지겨워지기 시작할 때 공책 한 편에 불을 밝히기 시작(?)할 것이다. 확실히 낙서하는 습관은 여러분의 집중력을 향상시킨다.Jackie Andrade는 40명의 피험자에게 파티 예약에 관한 전화 내용을 듣게(길이는 약 2분 30초 정도)했다. 실험자들은 이 내용이 지루할 것이며, 특별히 메모를 할 필요도 없지만 파티에 참석하려는 사람의 명단을 작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명단을 외울 필요는 없었다- 역자 주). 피험자 중 절반(doodling 조건)은 이 테이프를 들을 때 낙서(종이에 그려진 도형에 그림자를 색칠하는 과제)를 하도록 지시했다.

 

낙서 조건은 참가 인원의 명단을 정확히 기록했다(7.8 VS 7.1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다). 또 낙서 조건은 surprise memory test에서 메세지에서 나온 장소와 참가 인원을 정확히 기억했으며 이는 통제 조건보다 29%나 정확한 결과였다.


Andrade는 왜 낙서가 주의를 유지하는 데 왜 도움을 주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낙서가 지루한 일을 할 때 백일몽에 빠지는 현상을 막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한다. 이 연구는 심리학에서 밝혀진 emerging recognition이라는 현상의 일부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 개념은 이중과제 테스트에서 secondary 과제가 반드시 primary task를 방해하지는 않을 수도 있고,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역자 주

최근 dual-task 상황에서 secondary task가 primary task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과제는 동일한 작업기억 내에서 경쟁을 하게 되어 용량을 소모하게 되는데, 때로는 secondary task가 primary task 과제 수행 시 지루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백일몽을 제거하거나 각성 수준을 유지시켜서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각 dual-task에서 각 과제간 방해는 ‘boredom’이라는 또 다른 요소에 의해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출처: Cognitive daily
번역: 인지심리학 매니아

Posted on: November 5, 2009 4:20 PM, by
Dave Munger

그 레타와 나는 학부 시절 시카고 대학에서 공부했다. -중략 - 도서관은 금요일 밤 10시에 문을 닫았다. 우리 대학에는 두 개의 영화 동아리가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Hitchcock fest에 참여하거나 Kurosawa marathon에 참여했다.



그러나 여전히 공부는 대학 생활의 주요 관심사다. 대학 내에는 다섯 개의 남학생 사교클럽이 있었고, 30개의 커피숍이 있었다. 우 리는 파티를 열지 않았지만, 공부 하다가 휴식을 취하기는 했다. 우리가 그곳에서 지내면서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실 하나는 어떻게 해야 공부 중 잠시 취하는 휴식을 효율적으로 취할수 있는가였다. 어떻게 하면 우리 마음을 다시 정리하고 나머지 공부에 집중할 수 있을까?


오래된 개념이지만 최근에 다시 주목받는 이론 중 하나가 'attention restoration theory(ART)'이다. William james 또한 이와 유사한 개념을 그의 1982년 심리학 저서에 논의한 적이 있다. 나무 사이를 걸어가는 것이 우리 생각을 다시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개념은 임마누엘 칸트, 아니 그보다 더 오래된 개념이다. 하지만 자연과 교감하는 것이 과연 어떻게 주의 집중을 도와준다는 것일까? ART는 자연 세계는 환경을 통해(황혼, 아름다운 나무) 우리의 주의를 상향처리(bottom-up) 방식으로 개입하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반면 현대 도시처럼 인공적인 환경은 지나가는 차를 피하거나 신호등을 지키기 위해서 active attention(행동하는 사람의 의도가 개입되는 주의- 역자 주)의 개입을 요구한다. 공부나 쓰기처럼 지성을 사용하는 활동들은 인공적 환경에서 요구되는 주의와 동일한 종류의 주의가 요구되기 때문에 인공적 환경에서의 휴식은 진정한 휴식이 아닌 것이다.



Marc Berman, John Jonides, and Stephen Kaplan은 ART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 궁금했다. 그들은 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backward digit-span 과제를 시행했다. 참가자들은 3-9에 해당하는 숫자들의 연속을 기억했다가 역순으로 숫자를 읊어야 했다. 만약 실험자가 '6-1-9'라고 말했다면 학생은 '9-1-6'이라고 말해야 하는 거서이다. 이렇게 14번의 테스트가 끝난 다음 학생들에게 한 시간 정도 수목원을 걷거나, 시내를 걷게 시켰다. 그 다음 digit-span test를 다시 실시했다. 자연 속을 걷는 것이 digit-span 점수를 향상시켰을까?




전반적으로 짧은 산책은 학생들의 점수를 향상시켰다. 중요한 사실은 자연 속을 걸은 학생들의 점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런 증가폭이 시내를 걸은 학생보다 크다는 것이다.



두 번째 실험에선 학생들에게 backwards digit-span 과제와 함께 visual attention task(방해 자극이 집중을 흐트러놓는 과제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역자 주)가 함께 주어졌다. 테스트 중간에 산책을 하게 하는 대신, 참가자는 자연 또는 도시 풍경을 담은 사진을 봤다. 이번 실험에서도 자연 사진을 본 학생들의 점수 증가폭이 도시 사진을 본 학생보다 컸다. visual attention task의 경우, 특정 조건 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방해 자극이 적었던 과제의 경우 두 조건 간 차이가 없었지만, 복잡한 과제의 경우 자연 풍경을 본 학생의 수행이 더 좋았다.



위 실험 결과가 시카고 대학에서의 공부 중 휴식에 대해 어떤 의미를 가질까? 시카고는 전형적인 도시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캠퍼스 내부가 굉장히 아름답지만 빌딩이 보이지 않는 장소를 찾기가 힘들다. 거의 대부분의 창밖을 쳐다보면 나무 대신 다른 빌딩이 보이는 게 다반사다. 더욱이 기후조건 때문에 1년 동안 밖으로 나갈 수 있는 날이 많지 않다. 거의 대부분의 시간이 Arctic wastland이다.



Gary Felsten은 학생들에게 어떤 장소를 휴식하기 좋은 장소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봤다. 그 는 도시 또는 교외에 위치한 대학교의 휴게실 사진을 보여주었다. 사진 중 몇 장은 창문을 통해 도시나 자연 환경이 보이는 경우였고, 몇몇 사진은 공원처럼 외부와 개방되어 있는 휴게실 사진이었다. 몇몇 사진은 창문이 전혀 없었다. 창문이 없는 휴게실의 경우 연구자가 포토샵으로 휴게실 벽에 자연 풍경을 그려넣었다.


그 다음 연구자는 200명의 학생들에게 어 느 장소가 가장 휴식을 취하기 좋은지 평가하게 했다("being away", "fascination", "comfort", "easy"). 학생들은 도시 풍경보다는 자연 풍경을, 자연 풍경 중에서는 벽화에 그려진 경우가 창문으로 보이는 풍경보다 더 휴식하기 좋을 것 같다고 평가했다. 어쩌면 휴게실에 그려진 벽화가 공부 중간 휴식에 더 효과적일지도 모르겠다.



임마누엘 칸트부터 Henry David Thoreau, Wiiliam James에 이르기까지 많은 학자들이 사고를 다시 집중하기 위해서 자연 속을 산책했다. 이제 연구자들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Berman, M., Jonides, J., & Kaplan, S. (2008). The Cognitive Benefits of Interacting With Nature Psychological Science, 19 (12), 1207-1212 DOI: 10.1111/j.1467-9280.2008.02225.x
Felsten, G. (2009). Where to take a study break on the college campus: An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9 (1), 160-167 DOI: 10.1016/j.jenvp.2008.11.006
출처: Psychcentral
번역: 인지심리학 Mania
 
By Rick Nauert PhD Senior News Editor
Reviewed by John M. Grohol, Psy.D. on July 23, 2009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아동의 손상된 작업 기억을 인지적 훈련과

약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작업 기억이란 현 상태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거나

처리할 수 있는 기억을 말한다.

 

영국은 그 동안 기억이나 주의에 장애가 있는 개인을 위한

훈련 소프트웨어의 효과를 연구해 왔다.

Joni Holmes, Ph.D.와 Susan Gathercole, Ph.D.는

그간의 연구를 2009년 8월짜 Applied Cognitive Psychology에 게재했다.

이 연구는 ADHD아동 25명을 대상으로 한 작업 기억 트레이닝과 약물의 효과를 평가했다.

 

각 아동들은 작업 기억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는 일단의 테스트를 시행하는데,

이 때 약물을 복용하거나 또는 복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했다.

이 훈련이 진행된 다음 Cogmed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작업 기억의 각 측면을 측정하는 동일한 테스트를 다시 한번 시행하게 되고, 

훈련이 있은 뒤 6개월 후에도 테스트를 반복했다.

 

연구 결과는 약물의 경우 시공간 작업기억의 향상을 가져온 반면,  소프트웨어를 통한 훈련이 언어-시공간 단기, 언어-시공간 작업 기억에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훈련의 효과는 6개월 뒤까지도 지속되었다.

 

“"우리는 이제 막 작업 기억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해해 나가는 중입니다.

ADHD나 작업기억에 문제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 진행하면

이 훈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전망성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연구는 이 기억 훈련이 학령 전 아동, 청소년, 성인이나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작업 기억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을 보태고 있다.

 

 

영어원문: http://psychcentral.com/news/2009/07/23/cognitive-training-for-kids-with-adhd/7289.html

 

로또 두 장을 샀는데 한 장을 잃어버렸다고 치자. 일주일 후 친구가 와서 너가 잃어버렸던 로또와 당첨된 로또 번호가 흡사하더라고 말해준다. 이럴 때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아마 미친듯이 쓰레기통을 뒤지며 펄쩍펄쩍 뛸 것이다. 내 번호가 진짜 당첨 번호와 동일한지 확인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자그마치 40억이 걸린 로또라면 더더욱 잠이 오지 않을 것이다. 한 가지 명심할 건,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그런데 참으로 신기하다. 이미 엎질러진 물인데(로또를 잃어버린 것은 기정사실인데도) 번호를 확인해 보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투자를 포기했던 주식의 가격이 올랐다는 친구의 말을 들으면 그 말이 진짜인지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를 당장 켜 볼 것이다. 왜 우리는 이미 엎질러진 물인데도 불구하고 지나간 일들을 캐 보려 노력을 하는가?

 

내 결정이 잘못된 것이었는지 확인하려는 심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명들이 가능하다. 첫째로는 자신의 과거 결정이 잘못된 결과를 낳지 않을 것이라는 증거를 얻으려는 심리다. 내가 잃어버린 로또가 1등 당첨번호와 같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 마음이 놓이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과거의 잘못으로부터 교훈을 얻으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이 경우야말로 지나간 옛일을 반성하는 가장 성숙한 자세일 것이다. 그러나

"Different ways of looking at unpleasant truths: How construal levels influence information search"이라는 논문에 의하면 사람들은 '정보의 부재'라는 사실 자체에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정보를 찾는다고 한다. 로또 번호가 당첨번호와 같은지 틀린지 명확하게 모르는 상황에서는 심리적으로 진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차라리 번호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면 이렇게 괴롭지 않을 것이다).

 

다음은 지난 일에 대한 정보 탐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다.

 

사건의 구성방식과의 관련성

과거의 일들은 상위 수준, 또는 부수적 수준의 표상으로 머리에 저장된다. '난 이 사람이랑 결혼한 게 너무 행복한 것 같다'라고 결혼식을 기억하다면 이는 다소 추상적이고 상위 수준의 표상이지만, '그날 부케를 친구가 받다가 넘어진 게 너무 웃겼어'라고 기억한다면 결혼식을 부수적 사건들의 집합으로 기억한 것이다.

만약 이 때 불쾌한 정보가 날아든다면 어떻게 될까? 친구가 "너가 찍은 결혼 사진이 시중 가격보다 훨씬 비싼 거래. 바가지 쓴 거 아니야?"라고 했다고 치자. 결혼식 때 사진을 찍은 일은 다소 구체적인 일들에 해당된다. 만약 당신의 결혼식 기억 전반이 부수적 수준에서 표상화 되었을 경우, 바가지 쓴 일은 당신의 기분을 훨씬 나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속았는지 안 속았는지 인터넷을 뒤져서라도 다른 가격대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추상적으로 결혼식을 기억한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사랑하는 사람이랑 결혼했는데 그깟 바가지가 무슨 대수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변일(바가지)은 무시하게 된다. 따라서 뒤늦은 후회로 내가 속았는지 확인하는 일이 적다.

 

사건을 보는 관점과의 관련성

사건을 1인칭으로 보는 것과 3인칭 관점으로 보는 것 또한 차이를 가져온다. 기억이 1인칭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부정적인 일을 당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때 부정적 정서를 크게 느낀다. 따라서 사후 정보 탐색에 더욱 열을 올리게 된다. 그러나 3인칭 관점의 경우 부정적 정서를 덜 경험한다. 따라서 부정적 일이 진짜 벌어진 것인지 확인하는 경우가 적다.

 

정보 탐색의 무용함을 설명할 때

결혼 사진을 바가지 썼는지 확인하려는 사람에게 친구가 "그래서 무슨 소용 있겠니? 결혼만 잘 하면 됐지."라고 했다면 확인하려던 것도 그만 두게 될 것이다. 부정적 일들이 과거에 일어났었다는 사실을 듣고 확인하려는 사람에게 그 정보 탐색이 현재 상황을 바꾸거나 개선시킬 수 없음을 설명한다면 사실 확인을 덜 하게 된다.

 

 

결론

결국 인간이 잃어버린 로또를 찾는 이유는 정보가 부족함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참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이런 현상은 과거 기억이 부수적 일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자신과 심리적 거리(관점)이 가까울 때, 정보 탐색이 심리적 완화를 가져온다는 유용성을 띌 때 심해진다. 우리는 이럴 때 사건의 보다 근본적인 의미에 집중하고, 제 3자의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볼 때 뒤늦은 후회를 덜 할 수 있다.

 (사진출처: http://blog.daum.net/2006jk/17221623)

 

 

출처: Cognitive Daily

 

학교 예산이 깎일 때마다 음악과 미술과목은 제일 먼저 삭감해야 할 대상으로 거론된다. 음악과목은 보통 '필수'과목으로 인정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미국에서 벌어진 일들을 보면 이를 확실히 실감할 수 있다. 'The No Child Left Behind Act'는 학생들이 일정 수준의 학문적 성취에 도달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예산을 삭감하도록 하고 있다. 혹자는 음악이나 recess(휴교 또는 휴식시간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 같다 - 역자주)는 영어, 수학, 과학, 역사같은 과목을 공부하는 데 방해가 될 뿐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음악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학업을 정말 방해하는가? 몇몇 연구는 수년에 걸쳐 음악 교육을 받은 경우 아이들의 아이큐 점수가 향상된다는 반대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관'연구였을 뿐이다. 우리는 음악이 향상과 인과관계가 있는지 모른다. 음악 활동을 하는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는 이유는 '공부를 잘 하는 아이가' 음악교육을 받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학생들은 음악 교육을 받지 않으면 학업성취도가 훨씬 높아질지도 모르겠다.

 

Peter Miksza는 1988년 Nationa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에서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음악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는 5,335명의 학생 중 8학년부터 12학년까지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전혀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기록을 분석했다(부분적인 기간 동안만 참여한 경우 연구에서 배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상한대로 수학, 읽기, 과학, 사회 점수에서 음악교육을 받은 학생의 점수가 훨씬 좋았다. 그러나 그는 socioeconomic status(SES) 또한 학업 성취와 상관이 있는 것을 찾아냈다. 아마 SES가 음악 활동을 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성취도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수 있다.

 

연구팀은 학생들의 SES를 설명할 통계적 모델 몇가지를 만들어냈다. SES를 고려하더라도 음악 활동을 하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성취도에서 월등했다. 예외가 있다면 읽기 점수에서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다. 음악 활동을 하는 학생이 읽기 점수에서 앞서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득이 감소했다. 이것은 소위 '천장 효과( ceiling effect)'일 수 있다. 테스트가 변별릭이 떨어져서 음악 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점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을 수(쉽게 얘기해서 능력치가 훨씬 높을 수 있음에도 테스트 기준 내로 과소평가됐을 가능성) 있다. 다른 테스트의 경우 음악 활동을 하는 사람의 성취도 면에서의 우위는 8학년에서 12학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Miksza가 지적한 대로 이 실험은 몇가지 함정이 있다. 이것은 통제된 연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결과들은 단지 상관을 보여준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학생이 음악 활동에ㅔ 참여할 때 학업상취도가 향상되는지 알 수 없다. 또 두 집단간 학업성취도의 격차가 시간이 지남에도 줄어들지 않았다. 만약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음악 때문이 아니라)애시당초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이었다면 어떻게 하는가? 아마 8학년 이전의 음악 교육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늦은 음악 교육은 학업성취도를 방해하지 않는 것에 그칠 수도 있다. 이 연구 하나만 가지고는 정답을 알 수 없다. 어쨌든 우리는 음악 과목을 정규 과목에서 빼는 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과 관계가 없다는 강한 증거를 가지게 되었다. 대신에 이것은 음악으로부터 얻고 있는 학생들의 이득을 박탈하는 것이 된다.

Peter Miksza (2007). Music particip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as correlates of change: A longitudinal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72), 41-57

 

영어원문: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7/music_participation_doesnt_app.php

당신이 보는 매 장면을 모두 기억할 수 있다고 상상해보라. 당신은 에전에 갔던 길을 찾기 위해 다시 물어보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일단의 과학자들이 당신이 보는 것을 기억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단백질을 찾아냈다.


스페인 연구자들은 오늘(7월 2일) 사이언스에 올린 논문을 통해 기억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우연히 찾아내었다고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당시 visual cortex의 잘 연구되지 않은 부위를 연구하는 중이었다. 이들은 쥐의 visual cortex에 있는 RGS-14라고 불리는 단백질(그림 참조)의 합성을 늘리면 쥐의 시각 기억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했다.


RGS-14를 늘린 쥐는 그들이 봤던 장면을 최고 2개월 후까지 기억했다. 일반적인 쥐들은 영상을 대략 1시간 정도 기억한다.


연구자들은 V2의 여섯 층 중 하나인 이 영역이 시각적 기억을 만들어내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이 부위를 제거할 경우 쥐는 자신이 봤던 물체를 더는 기억하지 못한다.



이 단백질이 인간의 시각 기억을 향상시킨다면 매우 놀라운 일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이 단백질이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하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 하나는 이 단백질이 오직 시각 기억에만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 언급했던 대로 이는 mapping을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엔지니어나 건축가처럼 시각적 기억을 특히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이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약이 탐정이나 스파이에게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사진처럼 생생한 기억을 얻는 것 또한 가능할까? 예를 들어 내가 책의 어떤 페이지를 봤다면 그 페이지의 단어들을 기억하게 될 것인가? 아니면 그 페이지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기억하게 될 것인가?

그러나 부정적인 결과 또한 생각해 봐야 한다. 안 그러면 기억하지 않아야 할 것을 계속 하게 되서 문제가 생기거나 trauma로 발전할 수도 있다.


via Science


http://io9.com/5306489/a-drug-that-could-give-you-perfect-visual-memory
출처: Cognitive Daily


몇몇 연구들이 다음과 같은 이상한 가정을 확인했다. 만약 당신이 단어 등을 잘 기억하고 싶다면 눈을 좌우로 30초 동안 굴려라.


연 구자들은 기억 테스트 전에 이렇게 좌우로 안구운동을 하면 기억력이 향상됨을 발견했다. 왜일까? 이런 안구운동은 뇌의 좌우 반구를 연결시키기 때문인 것 같다. 분할뇌 환자의 경우 일반인보다 단어 회상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같은 이치로, 두 반구의 소통을 돕는다면 기억력이 좋아질 것이다.



Keith Lyle은 만약 좌우 반구의 연결이 기억력 증진과 관련있다면

좌우 반구의 연결이 빈약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안구운동의 도움을 더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구간 연결이 비교적 약한 사람은 누구인가? 바로 오른손잡이다. 자주 사용하는 손은 보통 한 손으로 그치기 마련이다. 많은 사람들이 왼손으로 먹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 오른손잡이다. 간단한 테스트로 당신이 어느 손을 더 많이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여기를 클릭하면 온라인으로 자신의 성향을 알 수 있다. here

결과는 -100(완전한 왼손잡이)부터 +100(완전한 오른손잡이) 내에서 나올것이다.



Lyle의 팀은 똑같은 척도로 142명의 대학생을 측정했다. +80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오른손 성향이 강한 사람으로 분류되었다. 다른 사람은 오른손 성향이 약한 사람으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연구자들은 50개의 단어를 각각 2초동안 화면에 제시했다. 그 다음 위 학생들 중 절반을 나누어 점이 왼쪽과 오른쪽에 번갈아 나타나는 화면을 응시하게 했다. 나머지 학생들은 화면 중앙에 있는 점의 색깔이 바뀌는 것을 응시하게 했다. 그 다음 학생들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전부 써 보라고 시켰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른손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안구 운동을 했을 때 기억을 훨씬 잘 했다. 오른손 성향이 약한 학생들은 안구 운동 여부와 관계없이 회상해낸 단어수가 동일했다. 이번에는 관점을 바꿔서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학생들의 오답률은 어느 정도였을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 른손 성향이 강한 사람은 이번에도 안구 운동 후 적은 오류를 범했다. 그러나 오른손 성향이 약한 사람의 경우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 안구 운동이 더 많은 오류를 발생시킨 것이다. 결론적으로, 안구운동은 오른손잡이에게는 효과적이지만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더라도 성향이 약한 사람에게는 도리어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보다 이상한 결과가 나왔다. 우리는 좌우로 움직이는 안구 운동이 수행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눈을 위아래로 움직인 경우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좌우반구의 연결에 대한 주장에 일침을 가할 수 있다. 좌우 시각은 각기 다른 반구에 연결되어 있지만 위 아래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But the researchers say that other studies have shown that any eye movements increase bilateral activity in the frontal eye field(정확한 뜻을 몰라서 영어 원문 그대로 적습니다 - 역자주), 따라서 반구간 연결이 수행을 향상시켰다는 설명이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그렇다면 동일한 효과가 왜 왼손잡이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을까? 왼손잡이는 이미 좌우간 반구의 연결이 활발한 상태다. 연구팀은 왼손잡이의 반구간 연결이 활발하기 때문에 안구운동이 오히려 수행을 저하시킨다고 생각했다.

어쨌든 당신이 +80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오른손잡이라면, 이 결과는 당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단순 기억 테스트를 할 때는 눈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LYLE, K., LOGAN, J., & ROEDIGER, H. (2008). Eye movements enhance memory for individuals who are strongly right-handed and harm it for individuals who are not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5 (3), 515-520 DOI: 10.3758/PBR.15.3.515

영어원문: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4/a_quick_eye-exercise_can_impro.php

출처: Cognitive Daily


Name That Tune
만 약 나처럼 70-80년대 미국에서 자랐던 사람은 Name That Tune이라는 게임쇼를 잘 알 것이다. 이 게임에서 참가자들은 유명한 노래의 일부분을 듣고 곡의 이름을 알아맞춰야 한다. 곡들이 주로 30-50년대 곡이었기 때문에 나는 그 노래들의 대부분을 몰랐지만, 하여간 그 게임이 흥미롭다고 생각했다. 내가 좋아했던 부분은 두 참가자가 얼마나 곡목을 빨리 맞추는지 경쟁하는 부분이었다. 어떤 경우는 참가자가 단지 음표 하나만 들었을 뿐인데도 곡목을 맞춘 경우가 있었다.


이 쇼는 유명한 곡들의 멜로디가 일종의 기억 장치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곡들은 오케스트라나 피아노로 연주되었고 참가자들은 곡을 1-2초만 듣고도 곡목을 맞출 수 있었다. 하지만 과연 멜로디가 곡을 외우는 최상의 방법인가? 만약 'Name Those Lyrics'라는 쇼 프로그램이 있었다면 우리는 곡을 훨씬 잘 맞출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가 음악과 가사에 대한 연구를 할 때 연구 초점은 주로 반응 시간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Name That Tune에서는 참가자가 곡목을 기억해내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



실험

Zehra Peyrnircioğlu팀은 180명의 심리학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멜로디나 가사, 곡목을 들려준 다음 이 단서를 바탕으로 노래의 다른 부분을 회상하도록 요구했다. 예를 들어 당신이 멜로디를 들었다면, 당신은 멜로디를 흥얼거리고 가사를 기억하며 곡목도 기억해야 한다. 만약 당신이 가사를 읽었다면, 멜로디를 흥얼거리고, 가사의 나머지 부분을 기억하고 곡목도 기억해야 한다. 제목을 먼저 본 경우라면, 가사와 멜로디만 기억하면 된다. 이 실험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가사와 멜로디는 노래의 독창부에서만 따오고 유명한 코러스 부분은 제외했다. 결과는 오른쪽 위에 있다.




피험자들이 곡의 멜로디나 제목의 일부분을 들었을 때, 곡의 다른 요소를 10-15%정도 기억했다. 그러나 가사를 읽었을 경우 곡의 멜로디나 곡목을 훨씬 잘 회상했다. 또 오류도 적었다. 따라서 Name Those Lyrics가 Name That Tune보다 훨씬 쉬운 것이다.곡의 제목이 들어가지 않은 가사가 제시되었는데도 말이다.



이상하게도 가사를 읽은 경우 가사의 나머지 부분을 기억해 내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멜로디와 가사를 같이 들은 경우는 따로 들은 경우보다 멜로디나 가사의 나머지 부분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흥 미로운 점은 참가자들이 가사가 곡의 다른 요소들 회상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믿지 않았다는 점이다. 참가자들이 대답을 하지 못할 때 연구자는 그들에게 그들이 이 곡을 알고 있는지 평가해 보게 했다. --만약 피험자에게 단서가 주어진다면 그들은 얼마나 정확한 응답을 할 것인가? 그 다음 참가자들에게 정답을 말하는 대신 multiple choice 문제를 풀게 했다. 참가자들은 가사가 주어졌을 때 자신이 정답을 맞출 수 있다는 사실을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우리는 멜로디와 곡의 제목이 곡을 기억하는 데 효과적일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반대다.

Peynircioglu, Z., Rabinovitz, B., & Thompson, J. (2007). Memory and metamemory for songs: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itles, lyrics, and melodies as cues for each other Psychology of Music, 36 (1), 47-61 DOI: 10.1177/0305735607079722

영어원문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5/how_do_we_remember_songs_by_on.php

아래 글은 [Cognitive daily]블로그의 게시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Last night in the U.S. many televisions were tuned to one of the biggest spectacles of the year: the American Idol finale, where America would learn which singer had been chosen as "America's favorite" (or, more cynically, who inspired the most teenagers to repeatedly dial toll-free numbers until all hours of the night). Greta and I are suckers for this sort of thing, so we watched along with the rest of the nation.


지난 밤에 대부분의 미국 사람들은 누가 'America's favorite'으로 뽑히는 지를 알기 위해 '아메리칸 아이돌 파이널'을 보고 있었다. 그레타와 나 또한 이 사람들의 대열에 동참하기로 했다.


What impressed me about the show wasn't so much the prodigious vocal talents of the two finalists, but how everything was put together so hastily: there had been only six days from the previous week's episode (where the two finalists were revealed), and during this time each finalist learned at least three or four songs. The musicians who played along with them had no score to follow; they had to commit the songs to memory. Everything went off without a hitch, because these professional musicians routinely hold an astonishing variety of music in their memories.


내가 깊은 인상을 받았던 부분은 결선에 올라온 사람들의 노래 실력이 아니라, 그들의 노래 배우는 속도였다. 지난 주 방영부터 결선까지 6일의 시간이 주어졌고, 그 동안 각각의 결선 주자들은 최소 3개에서 4개의 곡을 외워야 한다. 이들과 연주하는 뮤지션들은 따라할 악보도 없었다. 그들은 오로지 곡을 외워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막히는 데 없이 연주를 잘 해냈는데, 이런 프로 뮤지션들은 놀랄정도로 다양한 음악들을 기억에 저장하고 있다.

If you've ever seen a symphonic concerto, you probably noticed that the soloist usually performs the entire piece -- lasting 20 minutes or more -- from memory: thousands of notes, all played with perfect pitch and intonation. Clearly many musicians have exceptional memories for the songs they play. So does this ability to remember hundreds of songs transfer into other types of memory? While there's been some research into musicians' memory, the results have been mixed. Most studies show that musicians have better memory for words than non-musicians, but there's less evidence that musicians can remember spatial information better. In one study, musicians couldn't recall locations on a map any better than non-musicians.


만약 교향악 연주를 본 적이 있다면, 독주자가 20분 또는 훨씬 길게 솔로를 연주하는 것을 봤을 것이다. pitch와 intonation을 지키며 연주해야 할 음표가 수천개나 넘는데도 말이다. 확실히 많은 연주자들이 자신들의 곡을 외울 때 무언가 (일반적인 기억력과)다른 기억력을 발휘하는 것 같다. 이런 곡을 외우는 능력은 다른 종류의 기억력이 있음을 말해주는가? 그 동안 음악가의 기억력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결과들이 혼합되어 있다.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은 음악가가 non-musican에 비해 단어에서 월등한 기억력을 보인 반면, 음악가가 공간적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한 연구결과에선 음악가가 비전문가보다 지도 위치를 잘 못 외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So a team led by Lorna Jakobsen tested 36 college students, 15 of whom had an average of 11.5 years of formal piano instruction and had passed a rigorous performance examination, while the rest had less than a year of musical training.

Two tests were given. In the first, the students listened to a list of 16 words chosen from one of four different semantic categories (e.g. birds, furniture, etc.). The list was presented five times, after each of which they tried to remember as many words as possible. Next they were presented a different list of 16 words as a filler interference task. Then they were asked to try to recall the original 16 words again, and accuracy was tracked. Then everyone took the separate visual test, and after completing that (about 20 minutes later), they were again asked to remember the original 16 words again. How did they do? Here are the results:


Lorna Jakobsen은 36개의 college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피험자중 15명은 평균 11.5년동안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엄격한 기준에 의해 선발된 반면, 나머지 반은 1년도 채 못되는 음악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다.

두가지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1

먼저 학생들은 4개의 범주(e,g. 새, 가구 등)중 하나에 속하는 단어를 총 16개 듣는다. 이 목록은 다섯 번 제시되고, 목록 제시 후 최대한 많은 단어들을 기억해야 한다. 그 다음 또 다른 16개의 단어가 방해 과제로 제시된다. 그 후에 그들은 또다시 처음 제시됐던 단어들을 회상해야 한다. 그 다음 피험자 전원은 시각 테스트를 거치고, 그 후에(20분 뒤) 또다시 처음 제시되었던 단어들을 기억해야 한다.

  1                     2                    3                    4                    5                6

단어 과제 A -> 회상검사(A) -> 단어 과제 B -> 회상검사(A) -> 시각 검사 -> 회상검사(A)


결과는 다음과 같다.


The students were actually tested on the words in two different ways: free recall, and cued recall, which was a multiple-choice test. The musician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non-musicians in every test except the short-delay free recall. So this confirm!ed the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musicians are better than non-musicians at remembering words.


학생들이 회상검사를 받을 때 두 가지 다른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나는 자유 회상과제였고, 또 하나는 multiple choice 과제였다. 음악가들은 비전문가보다 수행이 뛰어났다(단어 제시후 바로 기억을 하게 한 경우는 제외). 이 결과는 음악가들이 비전문가보다 단어 기억 능력이 뛰어남을 증명해준다.


The interference task was similar, but it focused on visuals. The students saw 15 simple drawings, presented one at a time. The drawings all consisted of a single line and a dot, arranged in different orientations. As with the word task, the students saw the pictures five times, trying to draw by hand as many of the pictures as they could recall each time. After they had done the word memory test, they returned about 15 minutes later to see how many of the drawings they could remember. The results were similar: musicians remembered significantly more of the drawings than non-musicians.

실험2

실험2에서의 방해과제는 실험 1과 유사했지만 주로 시각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학생들은 15개의 간단한 그림들을 한번씩 보게 된다. 그림들은 단일 선들과 점들로 이루어져있고 전부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학생들은 단어태스크와 함께 그림들을 다섯번씩 보면서 기억해낼 수 있는 최대한 많은 그림들을 손으로 그리게 했다. 학생들이 단어 과제를 수행한 다음 15분 후에 얼마나 많은 그림들을 기억해 낼 수 있는지를 알아봤다. 결과는 실험 1과 비슷했다. 음악가들이 비전문가보다 훨씬 많은 그림을 기억했다.



The researchers also paid careful attention to how the students were recalling both the words and pictures. Musicians, they found, used different strategies. With words, they were more likely than non-musicians to group the words into similar categories (like "eagle" and "robin"). With the pictures, non-musicians tried to verbalize the pictures, while musicians did not.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어떤'방식으로 기억을 하는지도 유심히 관찰했다. 음악가들은 일반인과 다른 전략을 사용했다. 단어 기억 테스트시 음악가들은 단어들을 유사한 범주로 묶어서 기억했다. 그림 기억 테스트의 경우 일반인들은 그림을 언어화하여 외우는 반면, 음악가들은 그렇지 않았다.


In both cases, the musicians' strategie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and they also seem to duplicate strategies experts use to remember large quantities of information: they chunk it into related groups so that it's easier to recall later on. When they remember songs, musicians rely on the fact that the note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in fact are no better than non-musicians at remembering random sequences of notes). They appear to apply a similar strategy to other memory tasks.

두 경우에 비추어보건데, 음악가들의 기억 전략은 매우 효율적이며 기억 수행에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전략과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가들은 단어들은 연관된 그룹으로 묶어서 회상이 쉽게끔 만든다. 음악가들은 곡을 기억할 때 하나의 음표와 다른 음표가 연결되어 있는 방식에 근거해서 기억을 한다(음악가나 일반인에게 무선으로 배열된 음표를 들려주면 기억력 수행에 차이가 없다). 음악가들은 음악 외에 다른 분야에도 동일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Jakobson, L., Lewycky, S., Kilgour, A., & Stoesz, B. (2008). Memory for Verbal and Visual Material in Highly Trained Musicians Music Perception, 26 (1), 41-55 DOI: 10.1525/mp.2008.26.1.41

출처: Cognitive daily.

http://scienceblogs.com/cognitivedaily/2009/05/musicians_have_better_memory_-.php

+ Recent posts